사상 첫 전국 단위 개학 연기… 악화 땐 연장 가능성도

입력 2020-02-24 04:06
18일 광주 광산구 호남대학교 교정에서 중국인 유학생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잠복기를 보낼 격리 기숙사로 이동하고 있다. 호남대는 코로나19 확산 이후 이날부터 입국하기 시작한 중국인 유학생 전원을 2주간 격리해 건강 상태를 지켜본 뒤 수업에 참여하도록 한다. 연합뉴스

전국의 유치원과 초·중·고교의 개학일이 다음 달 9일로 일주일 미뤄졌다. 정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확산 추세를 지켜본 뒤 추가 연기 가능성도 내비쳤다. 전국 단위 개학 연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학원에도 휴원을 권고했다. 중국인 유학생은 이번 주에만 1만여명이 입국할 예정이어서 대학 사회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범정부대책회의 결과 브리핑에서 “전국 모든 유·초·중등 학교의 신학기 개학일을 다음 달 2일에서 9일로 연기하고 앞으로 감염증 확산 상황을 지켜보고 추가 조치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개학 연기 조치에 당장 맞벌이 학부모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교육부는 유치원·초등학생 돌봄 공백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개학은 연기하지만 초등돌봄 서비스는 유지하거나 강화하고, 가족돌봄 휴가제를 활용해 가정에서도 돌봄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마을 돌봄 기관과도 협력하기로 했다.

학원에는 휴원 및 등원 중지를 권고했다.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권고를 따르지 않고 문을 연 학원을 단속하기로 했다. 방역물품 비치, 예방수칙 게시, 예방교육 및 시설 내 소독 여부 등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볼 계획이다. 유 부총리는 “학부모들도 학생들이 학교 밖 교육시설과 PC방 등 다중이용시설 이용을 자제하도록 개학까지 2주 동안 지도해달라”고 요청했다.

중국인 유학생 보호·관리 방안도 나왔다. 그러나 기숙사 밖 중국인 유학생에 대한 실효적인 대책이 나오지는 못했다. 1일 2회 이상 스스로 건강 검사를 하고 대학이 이를 모니터링 하는 등 기존 대책이 반복됐다. 대학 현장점검단을 구성해 중국인 유학생이 많은 대학을 점검하고, 잘 대처한 대학에는 향후 재정지원 사업에서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정부는 예비비 투입 여부도 결정하지 못했다. 교육부는 지난 16일 “대학에 기숙사 등 관리 인력 경비 및 방역물품구입 비용에 예비비 지원을 검토한다”고 했었다. 그러나 23일에도 “예산 당국과 예비비 편성을 협의하고 있다”는 입장을 반복했다.

정부는 7만여명의 중국인 유학생 중 3만1462명이 국내로 들어올 예정이라고 밝혔다. 미입국 중국 유학생 가운데 입국 여부에 응답하지 않거나 입국 의사가 없는 인원은 6926명으로 파악됐다. 중국에서 이미 입국한 인원은 1만9838명이고 이 가운데 8050명은 입국 후 14일이 경과하지 않았다. 춘제와 겨울방학 기간 중국으로 나가지 않고 국내 거주했던 인원은 1만2753명이었다.

입국 예정 3만1462명 중 1만여명은 이번 주 들어온다. 대학가는 긴장하고 있다. 일부 교수단체는 당장 중국인 입국을 금지하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지방의 한 대학은 코로나19 확진자 증가 추세를 고려하면 학내에서도 확진자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매뉴얼까지 검토하는 상황이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