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코로나19 대유행 조짐… 최악 상정해 총력 대응해야

입력 2020-02-21 04:01
대구·경북 지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 속도가 가팔라 본격적인 지역 확산 대응 체제를 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전국 확진자 수는 20일 100명을 넘었다. 대구·경북에서는 지난 18일 31번 환자가 처음 발생한 뒤 19일 13명, 20일 오전까지 35명이 추가 확진됐고 오후 6시 현재 다시 21명이 추가됐다. 종교집단 신천지 집회에서 슈퍼 전파가 있었던 게 원인으로 추정돼 당시 집회 참석자 1000명 이상을 대상으로 조사가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대상이 워낙 많은데다 이들이 2차, 3차로 확산시킨 사례도 있을 공산이 커 사실상 대구·경북 지역에서는 대유행 조짐이 짙어졌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방역 당국도 코로나19가 기존 통제 범위를 벗어나 지역사회에서 확산하기 시작했다고 판단하고 있다. 대구·경북을 빼고도 감염 경로 확인이 어려운 사례들이 곳곳에서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기존 방역 대응체계 업그레이드를 추진하고 있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20일 긴급 관계장관회의를 소집해 방역 대책을 논의했다.

전문가들은 감염병이 본격 확산하는 시점에는 방역 및 의료체계를 원천봉쇄 방식에서 조기 발견 중심으로 바꿔야 한다고 말한다. 해외 유입 길목을 차단하고 확진자 동선을 역추적해 나가는 방식이 아니라 가능한 한 빨리 환자를 찾아내 적절한 의료를 통해 피해를 최소화하는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다. 보건소가 선별 진료를 담당하고 경증 환자는 공공병원이, 중증 환자는 상급병원이 맡는 분업화도 효과적인 방안이다.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진단과 치료를 위한 시설과 장비, 의료진 확보다. 특히 취약 환자를 집중 치료할 인력과 시설 확보가 중요하다. 이를 위해선 국가나 인접 지역의 지원과 협조가 절실히 필요하다. 정부는 이미 대구·경북 지역에 부족한 음압 병실을 포함한 재정 지원을 약속했고 부산시도 힘을 보태겠다고 나섰다.

해당 지역의 자구 노력은 기본 중의 기본이다.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주민들이 불요불급한 타인 접촉, 특히 타지로의 여행을 당분간 자제토록 해야 한다. 주민들이 부지불식간에 2차, 3차 전파자가 되지 않도록 감염 방지 매뉴얼과 에티켓을 생활화할 수 있도록 주의를 환기할 필요도 있다. 지난 19일 감염원이 불분명한 확진자가 발생한 서울 성동구가 자체 대응 단계를 ‘심각’으로 상향했고, 권영진 대구시장도 심각한 단계라고 밝혔다. 지자체와 중앙정부는 물론 지역민 모두 비상한 각오를 가져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