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보건당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환자 분류 기준을 바꾸면서 신규 확진자 수가 급감해 또다시 통계의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국가위건위)는 19일 하루 동안 중국 내 코로나19 확진자가 394명, 사망자가 114명 늘었다고 20일 발표했다. 중국 내 신규 확진자는 전날 1749명과 비교해 1355명이나 감소했다. 이날까지 중국 내 누적 확진자는 7만4576명, 누적 사망자는 2118명으로 집계됐다.
중국 내 피해가 가장 심각한 후베이성은 하루 동안 코로나19 확진자가 349명, 사망자가 108명 각각 늘었다. 후베이성의 추가 확진자는 전날 1693명이었다. 하루 만에 1344명이나 감소해 300명대로 떨어진 것이다. 이는 국가위건위가 후베이성에만 임상 진단 병례를 확진 범위에 넣었다가 다시 제외하면서 통계 수치가 조정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국가위건위는 19일 발표한 코로나19 치료방안 제6판에서 코로나19 피해가 가장 큰 후베이성과 다른 지역의 진단 기준 구분을 없애고 의심 환자와 확진 환자 두 종류로 통일하기로 했다.
앞서 국가위건위가 치료방안 제5판부터 후베이성에 임상진단 병례를 추가하면서 지난 12일 하루에만 중국 내 확진 환자가 1만5152명, 사망자는 254명이나 증가해 큰 혼선이 빚어졌다.
당시 국가위건위는 핵산 검사에서 양성 판정이 나오지 않아도 임상 소견과 폐 CT 촬영 등으로 환자를 확진자로 분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불과 1주일 만에 “치료율을 높이고 사망률을 낮춘다”던 임상 진단 항목을 삭제한 셈이다.
국가위건위는 이에 대해 최근 진단 능력이 향상되고 진단 시간도 단축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1주일 만에 정확도가 얼마나 개선됐는지 의문이다. 특히 지금도 발병지인 우한에서는 병원 진료조차 받지 못해 집에서 숨지거나 병상이 없어 입원조차 할 수 없다는 환자들의 아우성이 쏟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후베이성의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계속 하루 1000명 이상 증가하면서 전국적인 통계도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자 중국 정부가 부담을 느끼고 진단 방식을 바꿨을 것이란 의혹이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 나오고 있다. 후베이성 외 중국 다른 지역은 일일 신규 확진자가 50명 안팎으로 주춤해졌고, 기업 활동 등 경제를 정상화시켜야 하는데 후베이성의 통계 수치가 발목을 잡는다는 판단을 했을 수도 있다.
베이징=노석철 특파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