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비 1조원 규모의 국가 대형 연구시설인 차세대 방사광가속기(4세대 원형 방사광가속기) 유치 경쟁이 치열하다. 전남 나주시와 경기도, 충북 청주시, 인천 연수구, 강원 춘천시 등 5개 지자체는 저마다 장점을 내세워 유치 경쟁에 들어갔다.
19일 충북도에 따르면 정부는 오는 3월 대형가속기로드맵 및 운영전략을 확정하고 예비타당성 조사 신청 전 건립 부지를 확정할 계획이다. 방사광가속기는 전자가 자기장 속을 지날 때 나오는 빛을 이용하는 장치다. 전자를 빛의 속도로 가속했을 때 생기는 밝은 빛(X선)으로 미세한 물질이나 현상을 관찰하는데 사용한다. 신소재 개발부터 바이오·생명과학, 반도체, 디스플레이, 신약 개발과 같은 산업 현장에서 활용성이 높다. 국내에는 포항에 2기가 있으나 수도권과 중부권에 집중된 방사광 가속기 수요를 충족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제기돼 왔다.
충북도는 지난해 3월 중부권 차세대 방사광가속기 구축계획을 수립, 2025년까지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일원 53만9000㎡에 구축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사업비는 국비와 지방비를 더해 1조원이다. 오창은 가속기 설치에 적합한 화강암반층일 뿐만 아니라 전국 주요 도시에서 2시간 이내에 접근 가능한 교통 요충지로 꼽힌다. 청주국제공항도 인접해 있다.
도는 방사광 가속기를 활용하는 전국 주요 연구기관 10곳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차세대 방사광 가속기 구축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국립암센터,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등 10개 연구기관은 충북에 차세대 방사광가속기 추가 구축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았다.
그러나 오는 4월 총선과 맞물려 정치권까지 가세해 과열 경쟁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충북도와 전남도는 이미 각 정당에 4세대 원형 방사광 가속기 유치를 공약으로 채택해줄 것을 제안했다. 충청권 시·도지사 4명은 중부권 차세대 방사광 가속기 공동 유치에 힘을 모으고 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