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유학생 14일간 등교 중지… ‘원인불명 폐렴’ 환자 전수조사

입력 2020-02-17 04:04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16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중앙사고수습본부 회의를 마치고 중국 입국 유학생 관리·지원 방안에 대한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중국인 유학생과 중국을 통해 국내로 입국한 대학생은 14일간 등교가 중지된다. 이 기간에는 학생증이 정지돼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 도서관, 식당 등 다중이용시설 출입이 제한된다. 또 원인불명의 폐렴으로 입원 중인 국내 환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진단 검사를 받게 된다. 감염 경로를 모르는 29번 확진자가 나오는 등 지역사회 내 전파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선제적으로 감염자를 찾아내겠다는 취지다.

정부는 16일 ‘코로나19 중앙사고수습본부 제3차 확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대책을 확정 발표했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브리핑에서 중국인 유학생과 중국을 통해 국내로 입국한 대학생은 14일간 등교 중지 조치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이 기간 학생들의 학생증을 정지시켜 대학 도서관이나 식당 등 다중이용시설 출입을 막고, 기숙사 입소를 자율에 맡기되 원룸 같은 개인 주거시설에 머무는 인원은 대학과 지방자치단체, 보건 당국이 별도 관리하기로 했다.

대학에는 전담조직을 꾸리고 입국 단계별로 조치 계획을 수립하기로 했다. 입국 전 학생을 대상으로는 올해 1학기 원격수업을 활용하거나 휴학을 권고해 입국 인원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입국 시에는 ‘특별입국절차’를 거쳐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심사를 마친 뒤에는 대학 담당자에게 반드시 보고토록 했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1일부터 지난 14일까지 국내에 입국한 중국인 유학생은 1만9742명으로, 이 중 9000명가량은 입국 14일이 지나지 않은 인원이라고 설명했다.

박능후 중앙사고수습본부장(보건복지부 장관)은 “원인 불명 폐렴으로 입원 중인 환자를 대상으로 해외 여행력과 상관없이 코로나19 진단 검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검사 기준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일본에 이어 한국에서도 감염 경로를 알 수 없는 확진자가 나타나자 선제적으로 감염자 선별 조치를 취하겠다는 것이다. 또 “코로나19의 장기적 유행 가능성에 대비해 기존의 감염병·계절독감 표본 감시체계에 코로나19를 추가하겠다”고 말했다.

이도경 안규영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