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의 울산시장 선거개입 사건 수사 결과 재판에 넘겨진 백원우 민주연구원 부원장(전 청와대 민정비서관), 한병도 전 청와대 정무수석, 장환석 전 청와대 선임행정관이 11일 각자의 변호인을 통해 입장을 밝혔다. 이들은 공소사실이 “검찰의 주관적 추측과 예단으로 범벅돼 있다”고 주장했다. 또 “검찰 공소장에 문재인 대통령의 선거개입 관여 인상을 주는 표현이 있어 크게 우려된다”고도 했다.
한 전 수석은 입장문을 통해 “지방선거 이전부터 임동호 후보로부터 공사의 직과 관련한 여러 요청을 먼저 받았다”고 밝혔다. 송철호 울산시장의 당선을 위해 당내 경쟁자를 매수하려 한 것이 아니라 거꾸로 자리 요구를 받았다는 얘기다.
임 전 최고위원 측도 한 전 수석 주장에 동의했다. 임 전 최고위원 측 인사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임 전 최고위원이 ‘오사카 총영사로 가 보고 싶다’고 처음에 이야기했다”며 “‘자리를 먼저 요청했다’고 표현할 수는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장 전 선임행정관은 2018년 지방선거 전 민간인이던 송철호 울산시장, 송병기 전 울산시 경제부시장 등과 청와대 인근 식당에서 식사를 하며 울산 지역 현안에 관해 대화를 나눈 사실은 인정했다. 다만 그는 “검찰 주장처럼 산재 모병원의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가능성이나 발표 연기 등을 언급한 사실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만난 장소 자체가 공개된 장소라서 이런 대화를 할 수 있는 상황도 아니었다”고 했다.
백 부원장 등은 “공소사실은 검찰의 주관적 추측과 예단으로 범벅이 된 검찰 의견서라고 불러도 무방할 정도로 문제가 많다” “검찰의 공소사실이 마치 진실인 양 논의가 진행되는 것은 민주주의 사회의 공론으로서는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공소장에는 대통령에 대한 부적절한 언급을 통해 대통령이 선거개입에 관여했다는 인상을 주려는 표현이 상당부분 포함돼 있다”고도 했다.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2부(부장검사 김태은)는 이들의 입장 발표에 대해 “피고인들로서는 그렇게 주장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법정에서 증거를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구승은 기자 gugiz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