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45명 집단 발암, 청주시 북이면 미스테리 풀릴까

입력 2020-02-11 04:06
폐기물 소각장. 연합뉴스TV 제공

충북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에는 암환자만 45명이 거주하고 있다. 인근 폐기물 소각장에서 매일 뿜어져 나오는 분진과 매연 때문이라는 게 주민들의 주장이다. 이들은 “반경 2㎞ 이내에 소각장만 3곳이다. 엄청난 유해 물질로 인해 고통을 받고 있다”고 호소하고 있다.

북이면 주민 4773명 가운데 암환자가 1%에서 가깝다. 통상적인 암 발생률로 따져봐도 너무나도 높은 비율인 셈이다. 현재 이 곳엔 폐기물 소각업체가 3곳 가동중이고 추가로 1곳이 신설될 예정이다. 이 곳에서 10㎞ 떨어진 오창읍 후기리에도 다른 폐기물업체가 하루 165t 규모의 폐기물 소각시설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 전역의 폐기물처리업체가 하루 처리하는 소각량이 7970t인데, 북이면에서만 무려 542t이 처리되니 전국 대비 6.8%의 폐기물을 한 곳에서만 태워 없애고 있는 것이다.

그러자 이곳 주민 1523명은 지난해 4월 환경부에 소각장으로 인한 건강역학조사 청원서를 제출했다. 환경부는 북이면 지역 규모와 비교해 소각시설이 과밀하고 폐암 등 일부 암 발병률이 다른 지역보다 높다는 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건강 영향조사 청원을 수용하기로 했다.

10일 청주시에 따르면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소각장 주변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건강 영향조사를 이날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이번 조사는 소각장 주변 주민을 대상으로 정부에서 실시하는 첫 번째 건강 영향조사다. 건강 영향조사는 올해 12월 15일까지 진행된다. 결과는 내년 2월쯤 발표된다.

환경부는 크게 환경 오염도와 주민 건강 등 두 가지를 자세히 들여다볼 방침이다. 환경오염도 조사를 위해서는 소각장에서 배출되는 다이옥신, 다환방향족탄화수소 등 유해물질의 영향권이 어디까지 미치는지 파악하고 대기·토양 등의 오염도를 측정한다. 주민건강 조사는 설문 조사, 건강 검진, 인체 노출 평가, 건강 자료 분석 등으로 진행된다.

환경부는 지난해 10월 주민 의견을 수렴해 조사 방안을 마련했고 같은해 12월에는 충북대 산학협력단(책임자 김용대 교수)을 조사기관으로 선정했다.

김용대 충북대 교수는 “북이면 지역의 환경 오염도와 주민들의 건강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것”이라며 “소각장 주변 주민들을 상대로 한 건강영향조사는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아 3월부터 실시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