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신종 코로나) 확진자가 다수 확인됐던 일본 대형 크루즈선에서 하루 만에 또 10명의 확진자가 추가됐다. 이 배에서만 20명째 확진환자다. 폐쇄된 공간 내부의 집단감염 규모가 확대되면서 일본 내 신종 코로나 감염자 수는 45명으로 급증했다.
일본 후생노동성은 6일 검체 검사가 완료된 크루즈선 탑승자 71명 중 10명에게서 신종 코로나 양성반응이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후생노동성은 지난 3일부터 요코하마항 앞바다에 정박하고 있는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의 승객과 승무원 3711명 중 발열·기침 증상을 보이는 120명과 이 배에 탑승했던 홍콩인 확진자와 밀접 접촉한 153명 등 총 273명을 대상으로 신종 코로나 감염 검사를 실시했다. 전날 검사 결과가 나온 31명 중 10명이 확진자로 판명됐고, 이날 결과가 나온 71명 중 10명이 또 감염자로 확인됐다. 나머지 171명에 대한 검사 결과에 따라 확진자 수가 급증할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 있다.
일본 당국은 추가 확인된 감염자 10명을 전날과 마찬가지로 인근 가나가와현 내 의료기관으로 이송하기로 했다. 남은 승객과 승무원들은 바이러스 잠복 기간을 고려해 증상이 없어도 오는 19일까지 해상에서 격리된다. 배에 탑승한 한국인 관광객 9명 중 확진자는 아직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형 유람선이라는 특수한 공간이 집단감염 사태의 원인이 됐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크루즈선 여행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아사히신문은 ‘출렁이는 좁은 공간’이 선박 내 감염을 확산시켰다고 분석했다. 도호쿠 의약학대학 소속 감염예방 전문가인 가쿠 미쓰오 교수는 “선박 위 흔들림에 대비하기 위해 설치된 난간 등을 다수의 사람이 손으로 만지게 되고 이 과정에서 감염이 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일반적인 공간들에 비해 배의 경우 복도의 폭이 좁아 승객들이 오가며 접촉하기 쉬운 구조라 전염병이 퍼질 확률이 높다”고 덧붙였다.
수천명의 승객과 승무원들이 짧게는 며칠, 길게는 수십 일을 함께 숙식하는 크루즈 여행의 특성도 원인으로 지목됐다.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는 선내에 뷔페식으로 제공되는 무료 식당과 공중목욕탕, 사우나, 수영장을 갖추고 있다. 노래방이나 7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대형 극장, 댄스 교실 등에서도 승객들의 교류가 빈번하다. 우라시마 미쓰요시 도쿄지케이카이 의과대학 교수는 “뷔페식당에서 감염이 확산됐을 가능성이 상당히 크다”고 말했다. 음식을 덜고, 식사하며 대화하는 과정에서 바이러스 전파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미 CNN은 “크루즈선은 ‘떠다니는 페트리 접시(Petri dish·배양접시)’라 불린다”고 전했다.
일본 정부의 안일한 대처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나온다.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에 탑승했다가 지난달 25일 홍콩에서 내린 홍콩인 남성이 지난 2일 뒤늦게 확진자로 확인되면서 대규모 감염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지만 일본 정부는 나머지 승객들을 즉각 격리하지 않았다. 집단감염이 확인된 5일에서야 승객들을 객실에 머물도록 조치했다. 이전까지 승객들은 식당과 극장, 수영장, 공중목욕탕 등 배 안의 편의시설을 자유롭게 이용했다. 유람선이라는 특수 환경을 고려하지 않아 초기 격리에 실패했다는 지적이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