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신종 코로나 지역사회 유행 가능성… 장기전 대비해야

입력 2020-02-07 04:03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이 지역사회 전파를 넘어 유행 단계로 번질 수 있음을 정부가 인정했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지역사회 전파가 제한적이라던 기존 입장을 바꿔 “확산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감염병 유행의 조건이 차곡차곡 채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신규 감염자의 국내 유입이 계속되고 있다. 중국이 아닌 곳에서도 들어오고 아무런 증상이 없이도 들어왔다. 국내 2·3차 감염자가 9명으로 늘었다. 관리 대상 접촉자는 1000명을 넘어섰다. 전문가들은 4차 감염이 발생하면 지역사회 유행이 본격화하는 것이라고 본다. 1차 검사에서 음성 판정을 받았는데 뒤늦게 증상이 나타나 확진되는 경우가 두 번째 발생했다. 지난달 16일 이후 중국 우한에서 입국한 사람 중 수십명은 여전히 소재가 파악되지 않고 있다. 감염자의 확진 전 지역사회 활동 기간과 범위가 점점 길고 넓어지고 있다. 방역망에서 벗어난 감염자가 존재할 수 있음을 뜻한다. 감염병 위기경보는 아직 ‘경계’지만 2009년 신종플루 유행 당시처럼 최고 단계인 ‘심각’으로 상향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장기전에 대비해야 할 때가 됐다.

다행히 확진자들의 상태는 모두 안정적이다. 2명은 완쾌해 퇴원했다. 유행이 본격화할 경우 이렇게 집중적인 치료를 제공하는 데 한계가 생길 수 있다. 현재 198개가 확보된 국가지정치료병상의 수용능력을 넘어서는 상황까지도 감안해 대비해야 한다. 검사와 진단은 벌써 대상자가 폭증했다. 일선 의료기관에 곧 신속진단키트가 배포되면 숨통이 트이겠지만 신종 코로나의 증상이 매우 들쭉날쭉해서 검사 대상자를 선별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의료진에게 충분한 재량권을 줘 당국의 사례 정의에서 벗어난 경우도 검사가 이뤄지게 해야 한다. 지역사회 유행은 감염원을 특정할 수 없는 감염자가 나온다는 뜻이다. 의심스러운 증상이 생기면 스스로 외부 접촉을 피하고 신속하게 당국에 알리는 시민의 협조가 절실하게 필요하다. 지금도 일선 보건소와 감염자를 치료하는 의료진은 평상시의 몇 배가 되는 과중한 업무를 감당하며 사투를 벌이고 있다. 이들이 지치지 않도록 충분한 지원과 격려를 보내야 하며 장기전에 대비한 보건인력 확충 방안을 속히 마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