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이 4·15 총선에서 비례대표 의석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만든 미래한국당이 5일 공식 출범했다. 미래한국당은 최근 여론조사 지지율과 똑같은 정당득표율을 얻는다고 가정할 경우 비례대표 26석까지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한국당의 비례대표 의석보다 9석 늘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최근 급증한 무당층 표심을 예측하기 어려운 데다 유권자들이 한국당과 당명도 다른 미래한국당을 찍을 수 있을지는 불분명하다. ‘미래한국당=꼼수·위법 정당’이라는 여권의 공세도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여권은 미래한국당이 보수 유권자들에게 제대로 각인될 경우 총선에서 상당한 위력을 발휘할지 모른다는 위기감 때문에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다. 한국갤럽이 지난달 28~30일 전국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 결과(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 포인트,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를 기준으로 각 당의 비례대표 성적표를 추산해 보면, 더불어민주당(34%)보다 지지율이 낮은 미래한국당(한국당 21%)이 더 많은 비례대표 의석을 가져가게 된다. 전체 비례대표 47석 중 미래한국당 24석, 민주당 14석, 정의당 7석, 바른미래당 1석, 새로운보수당 1석 순으로 계산된다.
이는 여론조사에 나타난 각 당 지지율을 정당득표율로 놓고 현재 각 당의 지역구 의석수를 대입한 결과다. 무당층 33%는 각 당 지지율대로 투표한다고 가정했다. 여기에 보수통합이 성사될 경우를 가정해 한국당과 새보수당의 지지율을 합친다면 미래한국당(23%)은 2석 늘어난 26석을 가져갈 수 있다.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는 각 당의 지역구 의석수가 많을수록 비례대표 의석수가 줄어드는 구조로 돼 있는데, 미래한국당이 지역구 후보를 아예 내지 않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오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여러 가정을 전제로 한 결과이므로 실제 선거에서 같은 결과가 나올 가능성은 높지 않다. 특히 최근 급증한 무당층 33%가 각 당의 지지율대로 투표할지 불투명하다. ‘안철수 신당’이 무당층 표심에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국당 지지자들이 한국당과 당명과 기호가 다른 미래한국당에 고스란히 투표할지도 미지수다. 황교안 한국당 대표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미래한국당 중앙당 창당대회에서 “미래한국당 창당은 헌정을 유린한 불법 선거법 개악에 대한 한국당의 응전”이라고 강조한 것도 ‘한국당=미래한국당’이라는 인식을 심어주기 위함이다. 창당대회에선 진보 진영 한 관계자가 난입해 “가짜정당 해산하라”고 외치는 촌극이 벌어지기도 했다.
유권자들이 미래한국당을 ‘꼼수’로 인식할 경우 득표율이 되레 떨어질 것이라는 관측도 만만치 않다. 양승함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는 “이번 선거제 자체에 문제가 있더라도 미래한국당은 대화와 설득 대신 제도적 이점만을 찾는 정당이라는 측면에서 유권자들의 싸늘한 반응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범진보 진영은 미래한국당 창당을 연일 비판하고 있다. 이인영 민주당 원내대표는 미래한국당 창당에 대해 “정말 코미디 같은 현실이다. 참담함을 금할 수 없다”며 “꼼수와 정치적 계산이 난무하는 정치를 바라보는 국민의 심정을 생각하면 송구스럽다”고 말했다. 전날 민주당과 정의당은 황교안 대표를 정당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김용현 박재현 기자 fa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