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확산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에이즈바이러스(HIV) 치료제가 감염증의 치료 대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태국 의료진도 신종코로나 확진 환자에 독감과 에이즈바이러스(HIV)에 쓰이는 항바이러스제를 혼합 투약한 뒤 병세가 급속도로 호전돼 ‘음성’ 판정을 받은 것으로 알려지며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신종코로나에 HIV치료제를 사용한 것은 크게 새로운 방법이 아니라고 말한다. 지난 사스와 메르스 당시에도 HIV치료제를 써 효과를 본 전적이 있기 때문이다. 사스와 메르스도 이번 신종코로나와 같은 사람감염 코로나바이러스다.
국내 확진 환자들에게도 HIV치료제인 칼레트라(로피나비르와 리토나비르 혼합제제)가 사용되고 있다. 엄밀히 말하면 HIV치료과정에 쓰이는 단백질효소억제제다. 약은 바이러스 증식에 필요한 단백질 분해 효소를 억제해 활성을 막는 기전으로 작용한다. 최재필 서울의료원 감염내과장은 “칼레트라는 바이러스의 단백질 분해 효소를 억제하는 항바러스제로 보통 HIV에 쓰인다. 신종코로나가 나온 지 얼마 되지 않았고, 대규모 연구를 통해 효과가 입증된 치료제가 없는 상황이다. 다만 메르스와 사스의 경험을 통해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을 사용하는 것인데, 대표적인 것이 칼레트라”라며 “기본적으로 열이나 폐렴 등 증상을 치료하는 대증요법을 사용하고, 폐렴 악화 가능성이 있는 중한 환자들에게 칼레트라 등 치료제를 적용한다”고 설명했다.
HIV의 경우 지속적인 약물치료가 필요하지만 급성 감염병인 신종코로나는 단기간 치료로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최 과장은 “HIV는 지속적으로 숨어 있다가 약을 끊으면 계속 나오는 바이러스다. 그러나 호흡기로 감염되는 급성 바이러스인 신종코로나는 일정기간 증식하다 없어지는 특성이 있어 이 기간 동안 바이러스를 억제해주면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며 “메르스 당시에도 2주 정도 칼레트라를 사용하면 바이러스가 더 이상 나오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신종코로나에는 단기간 사용하기 때문에 약의 독성이 쌓여서 문제를 일으킬 걱정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태국에서는 칼레트라를 독감 치료제와 섞어 치료에 적용한다. 그러나 우리 의료진은 독감 치료제 혼합요법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 태국보다 우리 진단 기술이 더 월등하기 때문이다. 최 과장은 “신종코로나와 독감은 기전 자체가 다르고, 억제하는 단백질효소종류도 상이하다”며 “예상컨대 태국은 신종코로나 환자가 독감일 가능성을 의심했기 때문에 두 가지 치료제를 혼합사용한 것 같다. 우리의 경우 진단 시 독감 여부를 먼저 확인하고 그 후 신종 코로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근거 없는 독감 치료제를 사용할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전미옥 쿠키뉴스 기자 romeok@kukinews.com
신종코로나에 에이즈 치료제가 효과 거둔이유는…
입력 2020-02-09 18: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