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바이러스 유입 막을 입국 금지 확대 서둘러야

입력 2020-02-06 04:03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신종 코로나) 환자가 5일 3명이 추가돼 19명으로 늘었다. 이날 확진된 17번째 환자는 구리시 거주 30대 남성으로 지난달 하순 출장지인 싱가포르에서 감염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지난달 24일 귀국한 이 환자는 싱가포르에서 함께 식사를 한 말레이시아인의 감염 소식을 뒤늦게 듣고 검사를 받은 끝에 확진 판정을 받았다. 12번째 환자는 일본에서 확진자를 접촉했고 16번째 환자는 태국 여행을 다녀온 후 확진 판정을 받은 것으로 볼 때 중국이 아닌 제3국을 통해서도 바이러스가 유입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신종 코로나는 전파력이 강한 데다 무증상 상태에서도 감염될 가능성이 있어 유입원을 조기에 차단하는 게 중요하다. 검역 강화, 조기 진단 및 치료, 접촉자 관리 등 방역에 발 빠르게 대응하더라도 감염자 입국을 막지 못하면 효과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진원지인 중국으로부터의 유입을 막는 게 급선무다. 정부가 바이러스가 창궐하고 있는 중국 후베이성을 거쳐 간 외국인들에 한해 4일부터 입국 금지 조치를 취했지만 서둘러 대상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중국에서는 5일 0시 현재 확진자가 2만4324명, 사망자가 490명으로 늘어나는 등 확산세가 멈추지 않고 있다. 후베이성의 환자가 전체의 60%로 가장 많지만 그 외 지역의 비중도 40%나 된다고 한다. 후베이성을 경유한 외국인의 입국을 금지하는 조치만으로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대한의사협회가 입국 금지 대상을 중국 전역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권고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그런데도 정부는 너무 소극적이다. 더불어민주당과 정부, 청와대는 이날 당정청 회의에서 중국 입국 금지 지역 확대는 상황을 좀 더 지켜본 뒤 결정하기로 했다. 우리 정부의 제한적 입국 금지 조치를 탐탁지 않게 여기는 중국을 의식했는지 모르지만 정부는 국민 안전을 최우선에 둬야 한다. 3월 대학 개강을 앞두고 6만여명의 중국인 유학생들의 입국 행렬이 이어지게 된다. 중국 정부를 의식해 머뭇거리다 적기를 놓쳐서는 안 된다. 적어도 저장성, 광둥성 등 감염자가 대량 발생하고 있는 상위 5~10개 성이라도 입국 금지 대상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적극 검토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