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 확진자 신상 유출·“학부모가 음성” 루머… 지역사회 ‘흉흉’

입력 2020-02-05 04:03
환자 정보 유출 수사. 연합뉴스TV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확진자가 지방 곳곳에서 출몰하면서 전국 지방자치단체에 비상이 걸렸다. 확진자 접촉을 꺼리는 사람들이 이들의 개인정보를 통째로 유출하는가 하면 “확진자 A가 여기도 갔더라” “B가 여기저기 옮겨 다니며 수많은 사람을 접촉했다더라”는 식의 가짜뉴스와 소문이 횡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태국을 여행했다 2주 넘게 일상생활을 했던 광주 거주 40대 여성 16번째 확진자의 개인정보는 4일 이름만 제외하고 가족들까지 개인정보가 모두 유출돼 광주경찰청이 긴급 수사에 나섰다. 광주의 한 인터넷 맘카페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진환자 발생 보고’라는 제목의 공문서가 그대로 올라온 것이다. 문건에는 ‘보건행정과 감염관리팀’이라는 광주시의 직제와 함께 발생 개요와 조사내역, 조치내역, 향후계획 등이 담겨 있었다. 익명처리가 되긴 했지만 이 여성의 성과 나이 거주지역까지 상세히 노출됐고, 가족 일부의 개인정보도 담겼다.

앞서 지난달 30일에도 5번째 확진자의 개인정보가 온라인에 무차별적으로 유출됐다. 서울 성북구는 이 문서를 외부로 빼돌려 유출한 장본인이 성북보건소 직원임을 확인하고 경찰에 신병을 넘긴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 양천구의 한 맘카페 인터넷 게시판에는 “서울 목운초교 학부모 1명이 보건소에서 검사 뒤 음성으로 판정됐다”는 소문이 회원들을 달궜다. 사실 확인결과 능동감시 대상자이긴 했지만 의심 증상이 전혀 없어 검사를 받지 않았으며 모니터링 상태일 뿐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처럼 루머와 확진자 정보 유출 등으로 시민들의 불안감이 더욱 확산되자 지자체들은 이를 막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지역 특성에 맞게 방역활동과 감염예방 캠페인을 벌이는 동시에 가짜뉴스와 정보유출에 강력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서울시는 오는 14일까지 전통 시장의 특별 방역소독을 실시한다. 외국관광객이 많은 남대문시장 등 8곳 9334개 점포가 대상이다. 지하철, 버스에 이어 택시에 대해서도 대대적인 방역작업에 돌입했다.

서울 자치구 중 외국인이 가장 많은 영등포구는 중국 동포와 함께하는 예방캠페인에 나섰다. 중랑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Q&A’를 제작했다. 마포구는 ‘팩트 체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정보서비스를 제공한다. 최근 한 SNS에 ‘망원동에 의심환자가 발생했으니 신촌, 홍대 및 6호선을 주의하라’는 가짜뉴스가 등장해서다. 충북 영동군에서도 ‘한 병원에서 신종 코로나 환자가 나왔다’는 가짜뉴스가 확산되자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통신심의소위원회를 열어 SNS에 유포된 가짜뉴스 2건에 대해 삭제를 의결했다고 밝혔다. 삭제가 결정된 글은 ‘○○시에 확진자 2명이 발생했는데 우한에서 박쥐탕을 먹었다’는 내용과 ‘○○○아파트 ○차에 산다’는 내용이다.

한편 중국인 유학생 관리대책에도 비상이 걸렸다. 3월 개강을 앞두고 각 대학의 중국인 유학생들이 속속 한국으로 들어오고 있어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서울시립대를 방문해 중국 유학생들과 간담회를 갖고 외국인 유학생 관리계획을 브리핑했다. 제주도와 도내 4개 대학은 지난 3일 회의를 열어 외국인 학생이 기숙사 복귀 시 병원에서 폐 엑스레이를 반드시 찍도록 유도하고 입국 시 증상 유무와 관계없이 이동차량을 제공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김재중 선임기자, 오주환 기자, 전국종합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