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지자체, 남부내륙고속철도 노선 놓고 갈등

입력 2020-02-05 04:08

남북내륙고속철도(서부경남KTX) 노선을 둘러싸고 경남 지방자치단체들 간 기싸움이 점입가경이다. 경남도청 소재지인 창원시는 노선을 직선화해야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진주에선 “반드시 우리 지역을 거쳐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기 때문이다.

창원시는 4일 남부내륙고속철 건설에 따른 수혜범위를 경남 전 지역으로 확대하기 위해선 의령에서 고성까지 노선을 직선화하는 방안이 바람직하다는 내용의 건의서를 국토교통부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남부내륙고속철은 서울에서 김천을 거쳐 합천~진주~고성~통영~거제까지 연결하는 철도로 총사업비 4조7000억원의 대규모 인프라사업이다. 창원시는 기존안대로 고속철도 노선이 건설되면 수혜지역이 서부 경남지역에 집중된다고 덧붙였다.

남부내륙고속철은 지난해 1월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이후 KDI의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를 거쳐 현재 국토교통부가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용역’을 진행 중이다.

국토교통부는 최적의 기본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관련 지자체에 의견을 제시할 것을 요청했고, 이에 창원시는 신규 고속철도 서비스가 서부 경남뿐만 아니라 중부·동부 경남지역까지 확대될 수 있는 노선 직선화 방안을 건의한 것이다.

창원시는 진주지역 서측으로 휘어진 노선을 합천~함안~고성으로 직선화하면 김천~거제 운행거리가 10㎞단축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 직선화되면 창원, 김해를 포함해 함안, 의령까지 170만명의 주민이 추가로 고속철도 서비스를 받게 된다고 강조하고 있다. 특히 2000억원의 예산 절감 효과도 있다고 내세우고 있다.

최영철 창원시 안전건설교통국장은 “새로운 고속철도 서비스의 수혜지역 확대는 경남 전체 지역이 상생할 수 있는 유일한 방안”이라며 “국토의 균형발전을 위해서는 경남지역의 균형적인 서비스가 선결돼야 한다”고 말했다.

창원시의 제안에 진주시를 비롯한 서부경남 지자체는 즉각 반대 의사를 밝혔다. 진주시는 당초 남부내륙고속철은 낙후된 경남 서부권 발전을 위해 추진됐던 사업인 만큼 진주를 경유하지 않는 안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진주시 관계자는 “국토부에 질의해본 결과 창원시에서 노선변경 요구가 있었지만, 타당성이 없다고 확인했고 경남도도 기존 노선을 지지하고 있다”며 “창원시 안은 완전히 새로운 노선이어서 예비타당성 조사를 해야 해 착공이 지연된다”고 반박했다.

또 거제·통영·고성 단체장들도 창원시의 노선 변경 요구에 반발하고 있어 지자체 간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