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신종 코로나 피해 중기·소상공인 ‘경영안정자금’ 200억 지원

입력 2020-02-04 04:06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신종 코로나) 확산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해 최대 200억원 규모의 경영안정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당장 피해가 예상되는 음식·숙박업, 생활밀착형 소매업, 관광업 등에 종사하는 소상공인 등이 지원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중기부는 신종 코로나 확산과 관련해 중소기업·소상공인대응반에서 피해 규모를 파악하고, 200억원 규모의 경영안정자금과 1000억원 규모의 특례보증 보증률 인하 등의 조치를 취하겠다고 3일 밝혔다. 특례보증 보증률은 지역 신용보증기관을 통해 기존 1.0%에서 0.8%로 0.2% 포인트 인하하기로 했다.

박영선 중기부 장관은 이날 경남 지역을 방문해 신종 코로나로 인해 매출이 줄거나 부품을 제때 조달받지 못하는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현장을 점검하고 이 같은 정부 대응을 약속했다. 박 장관은 “우리나라 최대의 교역국인 중국에서 신종 코로나가 발생해 우리 경제, 특히 중소기업이 처한 엄중한 상황을 잘 알고 있다”며 “현장과 끊임없이 소통하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긴급자금 융자, 특례보증 등 가능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소기업계는 신종 코로나가 경제 상황을 악화시킬까 우려하고 있다.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은 이날 서울 영등포구 중기중앙회에서 열린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중국은 우리나라 무역의 25%를 차지하는 최대 교역국”이라며 “글로벌 분업화 시대에 중국에서 생산하는 부품·소재 조달에 차질이 발생하면 국내 산업도 영향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세계보건기구(WHO)에서도 국제 교역을 제한하지 않는 만큼 부품·소재 공급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사태가 장기화하면 중국과 거래하는 중소기업뿐 아니라 관광객과 내수 중심의 소상공인이 직격탄을 맞게 된다는 점도 거듭 강조했다. 김 회장은 “일시적 매출 감소로 어려움을 겪는 분들을 위해 정부 차원의 신속한 대응이 이뤄져야 한다. 5000만원 이내에서 즉시 지원하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