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의겸 전 청와대 대변인이 3일 총선 출마를 포기했다. 부동산 투기로 얻은 시세 차익을 기부했음에도 더불어민주당 지도부가 공천 불가 방침을 고수한 데 따른 것이다. 차익을 기부했다고 해서 공천 기회를 주면, 그 돈으로 국회의원 배지를 사는 것과 같다는 점에서 당연한 조치다. 만일 김 전 대변인이 공천=당선이나 다름없는 호남 지역 출마가 아니라 TK 지역 같은 험지나 수도권의 열세 또는 경합 지역에 출마하려 했다면 혹시 모르겠다.
김 전 대변인의 사례는 다른 청와대 출신 총선 예비후보들에게도 적용돼야 한다. 이들이 과연 배지를 달 자격과 역량, 도덕성 등을 갖췄느냐는 것이다. 총선에 출마하려는 청와대 출신 예비후보는 70여명으로 역대 어느 정부에서도 볼 수 없던 최대 규모다. 대통령 직속 각종 위원회와 고위 공직, 공기업 출신까지 포함하면 150명가량 된다고 한다. 민주당은 청와대 출신들이 예비후보 적합도 여론조사 과정에서 문재인 대통령 이름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했다. 능력과 자질이 없는데도 청와대 근무 경력을 스펙으로 내세워 유권자들을 현혹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험지나 접전 지역도 아니고 텃밭이나 우세 지역에서 손쉽게 배지를 다는 것을 용납해선 안될 것이다.
물론 청와대 출신 중에도 능력있는 인물도 있을 것이다. 공직 경험이 의정활동을 하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청와대 참모들이 문 대통령을 제대로 보좌하지 못했다는 것은 여권 내에서도 나오는 평가다. 문 대통령에게 조국 임명을 건의해 나라를 두쪽 낸 것부터 각종 정책 운용 과정에서 실용보다 이념을 앞세워 부작용을 양산한 것에 이르기까지 무능과 과오는 셀 수 없이 많다. 문 대통령이 지지자들만 의식하는 국정 운영을 하도록 부추기거나 맞장구만 칠 뿐 나라 전체를 위해 진언하는 참모를 찾아보기 어렵다는 얘기는 익히 알려져 있다. 한때 80%대까지 올랐던 문 대통령 지지율이 요즘 40%대로 떨어진 것도 청와대의 국정 운영 방식에 대한 국민들의 실망을 반영한다. 그래놓고 무슨 염치로 출마만 하면 당선되는 지역에서 공천을 받으려 하는가. 민주당이 이런 인물들을 걸러내지 못하면 유권자들이 심판할 것이다.
[사설] 김의겸 외에도 자격 미달 靑 출신 예비후보들 많다
입력 2020-02-04 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