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과 문재인 대통령 지지율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신종 코로나) 앞에서 흔들리고 있다. ‘조국 사태’ 때도 공고히 유지됐던 문 대통령과 민주당 지지율이 신종 코로나 대응으로 갈림길에 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갤럽이 지난달 28∼30일 전국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벌인 조사 결과 문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대한 긍정평가가 41%, 부정평가가 50%로 조사됐다. 문 대통령 지지율 하락과 함께 민주당 지지도도 현 정부 출범 이후 최저치인 34%를 기록했다. 민주당 지지도는 2주 전보다 5% 포인트 하락했다.
갤럽 측은 “여성, 20대와 30대, 진보층 성향에서 직무수행 긍정평가 하락 폭이 상대적으로 컸다”며 “긍정 및 부정평가 양쪽에서 신종 코로나 대처 관련 언급이 새로이 등장했다”고 설명했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사태 및 검찰 인사 파동 등이 그동안 중도층 표심에서 부정적 평가를 받았다면 이번 신종 코로나 사태는 기존 민주당 지지층의 이탈을 불러온 셈이다.
특히 눈에 띄는 대목은 30대와 전업주부 등 소위 ‘콘크리트 지지층’으로 꼽히던 민주당 지지층에서 부정평가가 늘어난 점이다. 30대는 2주 전 긍정평가가 61%였으나 이번 조사에선 48%로 조사됐다. 부정평가는 31%에서 43%로 늘었다. 전업주부의 경우 긍정평가가 44%에서 34%로 줄었고, 부정평가는 46%에서 57%로 증가했다.
여성들의 표심이 민감하게 반응한 것은 2015년 여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당시와 비슷하다. 당시 갤럽 조사에서 40%대 안팎이던 박근혜 대통령 지지율은 메르스 사태를 겪으면서 29%까지 하락했다 사태가 진정되면서 30%대로 회복됐다. 당시에도 여성과 60대 이상 등 박 전 대통령의 적극적 지지층에서 지지율 변화가 컸다.
민주당 관계자는 2일 “신종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총선에서 악재로 작용할 것”이라며 “치사율이 사스나 메르스 등보다 낮다곤 해도 이로 인한 경기침체 등 불똥이 어디로 튈지 모른다”고 우려했다. 여론조사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국민의 생명 및 안전과 직결된 문제인 만큼 정부 대응 결과에 따라 여권 심판론으로 확대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일각에선 사태가 진정 국면에 접어들면 총선 판세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있다. 이번 여론조사는 95% 신뢰 수준에 표본오차 ±3.1% 포인트이고,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