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코시티’는 부산저축은행 파산 초래한 캄보디아 신도시 개발사업

입력 2020-02-02 18:38

2011년 2월 캄코시티 분양 실패 등으로 부산저축은행이 영업정지된 지 9년이나 된다. 평생 일해서 받은 퇴직금, 자갈치시장에서 수십년 장사해 모은 돈 등을 투자한 피해자 3만8000여명의 한은 켜켜이 쌓여만 간다.

캄보디아와 코리아의 앞글자를 따서 만든 캄코시티는 수도 프놈펜에서 3㎞가량 떨어진 신도시다. 현지 시행사 월드시티가 2005년부터 2018년까지 6단계로 개발할 예정이었다.

부산저축은행은 월드시티 대표 이모씨와 공동사업약정을 맺고 이 회사 지분을 각각 60%, 40% 나눠 소유했다. 이씨는 한국 내 회사인 랜드마크월드와이드(LMW)를 통해 부산저축은행으로부터 총 2369억원을 투자받았다.

하지만 1단계 사업이 끝나기도 전인 2010년 분양 실패로 좌초했다. 예금보험공사가 회수할 돈은 원금 2369억원에 급격히 불어난 이자를 포함해 6700억원으로 늘었다. 예보는 공적자금 6조5000억원을 투입해 고객 예금을 5000만원 한도 내에서 지급하고 파산관재인이 됐다. 월드시티 지분 60%와 사업이익분배권 60%도 넘겨받았다.

예보는 채권 회수는 물론 월드시티 경영권을 회수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개발이익 기대로 캄코시티 땅값이 급등한 점 등을 감안하면 사업이 정상화되면 채권액 6700억원은 물론 투입 공적자금의 상당 부분을 회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야 5000만원을 넘는 돈을 부산저축은행에 넣었던 예금자, 후순위채권자 등 3만8000여명 피해자들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들의 총 피해액 6269억원 가운데 지금까지 국내자산 매각 등으로 20%만 배당으로 돌아갔다. 아직 4700억원이 남아 있다. 예보와 피해자의 채권 비율은 88대 12다. 채권 6700억원을 모두 회수해도 피해자에게 돌아갈 배당은 804억원에 불과하다. 피해자 입장에서는 캄코시티 사업 정상화가 이뤄져 예보가 최소한 4조원 이상을 회수해야 진정한 피해구제가 이뤄지는 셈이다.

이동훈 금융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