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30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신종 코로나) 대책 종합점검 회의에서 “신종 감염병에 맞서 범국가적 역량을 모아야 할 때 불신과 불안을 조장하는 가짜뉴스의 생산과 유포는 방역을 방해하고 국민의 안전을 저해하는 중대한 범죄행위”라고 지적했다. 더불어민주당 지도부도 신종 코로나 확산에 대한 국민의 우려를 정치적으로 악용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최근 유튜브 등을 통해 신종 코로나 관련 괴담이 쏟아지자 당청이 한목소리로 가짜뉴스에 대해 경고하고 나선 것이다.
문 대통령은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회의에서 “우리가 맞서야 할 것은 바이러스만이 아니다. 과도한 불안감, 막연한 공포와 단호하게 맞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특별히 가짜뉴스에 대한 엄정한 대응을 강조한다. 아무리 우수한 방역체계도 신뢰 없이는 작동하기 어렵다”며 “정치권도 이 문제에서만큼은 정쟁을 자제해주시길 요청드린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가짜뉴스 엄단을 강조한 것은 신종 코로나에 관한 유언비어들이 확산되면 정부의 감염증 대응 노력이 무력화되고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불안감 때문에 정상적인 경제 활동까지 영향을 받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며 “경제부총리를 중심으로 모든 부처가 경제 상황 관리에 만전을 기해줄 것을 각별히 당부드린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우한 교민들의 격리시설 장소로 지정된 것에 반발하는 충북 진천과 충남 아산 주민들에게도 양해를 구했다. 문 대통령은 “지역 주민들의 불안을 이해한다”며 “대책을 충분히 세우고 있고 걱정하시지 않도록 정부가 빈틈없이 관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