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각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신종 코로나) 의심환자가 잇따라 나오면서 아프리카에도 신종 코로나가 번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전 세계에서 신종 코로나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지만 30일 현재 아프리카와 중남미에선 확진환자가 나오지 않은 상태다. 특히 아프리카는 중국과의 교류가 비교적 빈번한 데다 의료시설이나 인력 등에서 바이러스 대처 능력이 떨어지는 만큼 자칫 걷잡을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AP통신 등에 따르면 30일(현지시간) 수단과 케냐, 코트디부아르, 아이보리코스트, 에티오피아, 적도기니 등에서 신종 코로나 의심환자가 보고됐다고 전했다. 특히 전날 잠비아에서 확진환자가 나왔다고 남아프리카공화국 언론이 전한 뒤 해외 언론이 이를 인용해 “아프리카도 뚫렸다”고 보도하는 등 소동이 일기도 했다. 아프리카 중부의 잠비아는 9개국과 인접한 내륙국이어서 확진환자가 발생할 경우 아프리카 전역의 국경 방역망에 비상이 걸리기 때문이다. 하지만 치탈루 칠루프야 잠비아 보건부 장관은 30일 “확진환자가 나왔다는 보도는 사실이 아니다”고 밝혔다.
의심환자가 발생한 국가들은 환자들을 격리한 뒤 치료 및 관찰을 하고 있다. 수단의 의심환자 2명은 중국 우한을 방문했으며, 적도기니의 의심환자 4명은 중국 베이징에서 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외에도 코트디부아르 등에서 치료 중인 신종 코로나 감염 의심환자들은 모두 중국에서 왔다.
AFP통신 등은 아프리카 국가들이 신종 코로나 확산을 막기 위한 예방조치에 돌입했다고 전했다. 아프리카 국가들 중 상당수는 중국의 ‘일대일로’에 참여하면서 중국과의 교류가 밀접해져 신종 코로나의 확산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아프리카 최대 경제권인 나이지리아는 중국으로 여행 계획이 있는 자국민에게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연기하라는 내용의 여행 권고문을 발표했다. 항공사들에는 나이지리아 착륙 전 신종 코로나 관련 증상이 기내 승객 등에게 보이면 즉각 보고하도록 조치했다. 나이지리아 보건 당국은 “중국이나 신종 코로나가 발병한 나라에서 입국하는 사람들의 경우 관련 증세가 보이면 최소 2주간 자택에 머물라”고 권고했다.
나이지리아 소비자보호기구(FCCPC)는 수도 아부자에서 불법 수입 해산물과 고기를 팔던 중국인 소유의 슈퍼마켓을 폐쇄하기도 했다. 이외에 적도기니와 모리타니는 모든 중국발 승객들을 14일간 검역을 위해 격리 조치하기로 했다.
장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