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석(사진)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 29일 검찰 출석을 예고하며 윤석열 검찰총장을 작심 비판했다. 청와대의 2018년 울산시장 선거개입 의혹 관련 혐의를 받는 임 전 실장의 이례적 발언 배경을 놓고 관측이 분분하다.
임 전 실장은 페이스북에 “비공개로 다녀오라는 만류가 있었지만, 이번 사건의 모든 과정을 공개해야겠다고 마음먹었다”며 “30일 오전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에 출석한다”고 밝혔다. 임 전 실장은 2018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송철호 울산시장과 경쟁하던 임동호 전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에게 경선 포기를 종용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정치권에선 임 전 실장의 발언을 두고 총선 출마를 위해 검찰 관련 의혹을 털어내려는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하지만 이에 대해 임 전 실장 측근은 “아직 기존 입장에서 달라진 것은 전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임 전 실장은 평소 검찰 수사를 납득할 수 없다는 뜻을 밝혀왔다고 한다. 그러다 최근 ‘소환 불응’ 등 언론플레이가 잇따르자 직접 대응에 나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임 전 실장과 가까운 민주당 의원은 “검찰이 걸어온 싸움을 검찰 스스로 멈추거나, 아니면 우리가 일방적으로 당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며 “가만히 당하고 있을 수는 없는 노릇 아니냐”고 말했다.
임 전 실장은 이날 윤 총장과 검사들의 수사를 ‘수사가 아니라 정치에 가깝다’고 지적하며 “객관적인 사실관계를 좇은 것이 아니라 정치적 목적을 갖고 기획해서 짜맞추기를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울산지검이 김기현 전 울산시장의 측근 비리 수사로 시작해 1년8개월간 덮어뒀던 사건을 윤 총장이 갑자기 서울중앙지검으로 이첩, 청와대를 겨냥한 수사로 확대했다는 주장이다.
임 전 실장은 특히 “검찰총장이 독단적으로 행사한 검찰권 남용” “최소한의 객관성도 공정성도 찾아볼 수 없다”고 윤 총장을 저격했다. ‘윤석열 검찰’의 수사가 총선 개입용 무리한 수사임을 부각시킴으로써 선거판에 미칠 영향을 차단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총선을 앞두고 당청이 검찰과 충돌하기가 부담스러워졌기 때문에 임 전 실장이 여권을 대표해 검찰과의 싸움에 뛰어들었다는 분석도 나온다.
임 전 실장은 “청와대와 국무총리실, 기획재정부와 경찰청 등을 서슴없이 압수수색하고 20명이 넘는 청와대 직원들을 집요하게 소환했다”며 “과연 무엇이 나오는지 국민과 함께 지켜볼 것”이라고 했다. 그가 글을 올린 뒤 검찰은 한병도 전 청와대 정무수석 등 13명을 무더기 기소했다.
김나래 신재희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