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이 혁신경영을 가속화하고 있다. 제조 부문을 비롯한 전 부문 스마트화로 한층 진화된 ‘스마트 엔터프라이즈’ 구축을 통해서다. 스마트 엔터프라이즈는 기존 스마트 팩토리의 제조·생산 부문 고도화뿐 아니라 시스템·인프라를 비롯한 프로세스 전 부문에 걸친 스마트 매니지먼트까지 구축하는 개념이다. 이를 위해 현대제철은 올해 초 프로세스와 시스템, 인프라 부문의 스마트 매니지먼트를 실행하는 프로세스 혁신 태스크포스(TF)팀을 사장 직속으로 전진 배치했다. 이를 통해 2025년까지 스마트 팩토리 고도화와 스마트 매니지먼트 융합으로 스마트 엔터프라이즈를 성장시킨다는 방침이다.
현대제철은 이미 2017년부터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이용해 제철소의 생산 공정 및 기술력 향상을 꾀하기 위한 스마트 팩토리 고도화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더 나아가 연결과 융합의 가치를 극대화 시킨 스마트 엔터프라이즈 달성을 위해 지난해 8월부터 당진제철소에 스마트 팩토리 전담조직을 신설했다. AI 관련 인재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추진하는 등 전문 인재 양성에 힘쓰고 있다.
지난해 스마트 아카데미 1기 수료생을 당진제철소에서 배출했으며 현재 2기 아카데미를 운영 중이다. 올해부터는 인천, 포항 사업장까지 교육을 확대할 방침이다. 향후 스마트 인재 양성을 위해 ‘서포터’ ‘리더’ ‘마스터’라는 정보통신기술(ICT) 전문 인력 등급을 자체 기준으로 정하고 당사 엔지니어 가운데 10% 이상을 리더급으로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안동일 현대제철 사장은 “스마트엔터프라이즈의 핵심인 생산 부문을 비롯 영업·구매 등을 아우르는 본부 간 유기적 네트워킹과 융합을 통해 고객 니즈에 신속 대응하는 것은 물론 고객 가치 추구를 통한 지속적인 성장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