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도·보유세 낼 바엔… ” ‘대대광’ 주택 증여, 작년 역대 최다 기록

입력 2020-01-30 04:04
연합뉴스TV 제공

지방 부동산 침체 속에도 꾸준한 강세를 보였던 ‘대대광’(대구·대전·광주) 지역에서 2006년 통계 작성 이후 지난해 가장 많은 주택 증여가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대대광은 상대적으로 규제에서 빗겨나 있어 서울·수도권 중심 부동산 정책에 대한 반대급부로 급격한 가격 상승이 관측됐던 지역이다. 비규제 지역의 대표주자격으로 떠오르면서 지난해도 해당 지역 주요 아파트들은 1억원 이상 시세 상승이 확인되기도 했다. 가격이 급등하면서 세제 등에 대한 고려로 인해 주택 증여 역시 덩달아 급증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29일 경제만랩의 한국감정원 주택 거래량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광주 주택 증여 거래량은 3385건으로 2018년(2867건)에 비해 18.07% 늘었다. 대전도 2562건으로 2018년(2342건) 대비 9.39% 뛰었고, 대구 역시 3.55%(4705건→4872건)나 증여량이 증가했다.

이들 지역 중 주택 증여가 가장 많이 급증한 곳은 대전 유성구로 조사됐다. 2018년 366건에서 지난해 802건으로 1년 사이 119.13%나 늘었다.

이처럼 증여 거래량이 급증한 것은 2018년부터 정부가 양도세 중과와 보유세 등을 강화하면서 세금 부담이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다주택자들은 매도 대신 자녀에게 증여하는 경우가 늘었고, 고가 주택을 보유한 1주택자들 역시 절세 목적으로 부부간 증여를 통해 공동명의로 전환한 것도 증여 확대의 이유로 꼽힌다.

반면 같은 기간 서울 주택 증여 거래량은 2018년 2만4765건에서 2019년 2만637건으로 16.67% 감소했다. 현 정부 규제 초반 규제가 서울·수도권에 집중되면서 다주택자 증여가 이미 활발히 진행된 상황에서 증가할 유인이 적었던 것으로 보인다.

오대열 경제만랩 리서치팀장은 “정부가 보유세와 양도세를 강화하며 세금 부담을 늘리고 있지만 다주택자들은 양도세와 보유세를 내느니 증여하는 방식을 선호하는 추세”라며 “향후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심리도 영향을 받은 것 같다”고 설명했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