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조기퇴직과 실직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40~50대 가장들을 대상으로 맞춤형 일자리사업을 마련했다.
도는 고용시장의 허리역할을 담당하는 4050세대들이 조기퇴직과 실직으로 어려움을 겪자 이들에게 맞춤형 종합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해 ‘경북 4050 행복일자리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28일 밝혔다.
‘4050 행복일자리’는 퇴직한 40∼50대 가장을 대상으로 하는 일자리 사업이다. 현재 경북도내 전체 취업자 수는 증가 추세지만 4050세대의 일자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어 청년, 노인, 여성에 비해 지원이 소홀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경북 4050 행복일자리’는 일자리 전담기능 강화와 재취업, 창업을 위한 전담센터를 운영한다. 기존 일자리를 지킨 기업에게 워라벨의 장려금 지원, 신규고용 우수기업에게 근로환경개선금 지원으로 4050세대의 재취업을 유도한다는 것이다. 또 이·전직에 대한 적합한 직무지원을 위해 체계적 훈련과 직무활용·전환을 위한 맞춤형 창업도 지원한다.
‘경북 4050 행복일자리’는 모두 5개 사업으로 600명에게 일자리 창출, 75개 우수기업에 지원, 20개사 창업을 목표로 추진한다는 방침이어서 4050세대의 가정과 도내 기업에 큰 도움이 예상된다.
핵심적으로 추진하는 세부사업은 ‘경북 4050 행복일자리 센터’ 운영으로 사업홍보 및 훈련 참여자 모집, 상담을 통한 취업 3로드(구직-교육훈련-창업) 추진, ‘경북 4050 행복일자리 우수기업 지원’으로 일자리 지킴이 행복 나눔과 신규고용 기업 근로환경 개선 지원이다.
또 ‘경북 4050 행복일자리 아카데미’의 실직·조기퇴직자 재취업 교육과 이·전직자 맞춤 프로그램 운영, ‘경북 4050 행복일자리 박람회’의 매월 4, 5일 매칭데이 지정 운영 및 권역별·산업별 개최, ‘경북 4050 행복창업 엑셀러레이팅’으로 창업에 필요한 노하우 전수와 전문가 그룹 컨설팅 지원으로 성공적인 창업지원 등이다.
경북도가 4050 행복일자리를 추진하는 배경에는 4050세대는 우리 경제·사회의 중추이며 이들이 실직할 경우 가족 부양의무 소홀로 가정 붕괴위기에 봉착하게 돼 사회전반에 큰 손실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정부의 기조에 발맞춰 올해 예산 15억원을 4050 행복일자리에 투입함으로써 구직자-중소기업간 미스매치가 해소돼 4050세대가 노동시장에서 더 오래 일할 수 있어 안정적인 노후 삶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