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우한 폐렴)이 발원한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 체류 중인 우리 국민을 귀국시키기 위해 이르면 30일 전세기를 보낼 예정이다.
주우한 한국총영사관은 27일 전세기 탑승 신청을 이메일로 받으면서 탑승 일정을 오는 30일 혹은 31일로 중국 당국과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한국 국민의 가족이라도 중국 국적이거나 37.5도 이상의 발열, 구토, 기침, 인후통, 호흡곤란 등의 의심증상자는 탑승할 수 없다. 전세기를 타고 돌아오는 이들은 잠복기를 감안해 귀국일부터 14일간 국가 지정시설에서 임시 생활하게 된다.
현재 우한에는 유학생과 자영업자, 주재원 등 600여명의 한국인이 체류 중이다. 이 중 500명 이상이 전세기 탑승 의사를 총영사관에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총영사관은 최종 탑승객 명단을 28일 홈페이지와 한인회 위챗 단체방에 공지할 예정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27일 청와대 참모들에게 우한 폐렴 확산 방지를 위한 선제적 조치로 “우한 지역에서 입국한 사람들의 경우 전수조사를 추진하라”며 “총력대응을 위해서 군 의료인력이나 군시설까지도 필요하면 투입하라”고 지시했다. 관저에서 열린 대책회의에는 비서실장, 국가안보실장, 정책실장 등 3실장과 수석·보좌관이 전원 참석했다.
윤도한 국민소통수석은 브리핑에서 “발 빠르게 대처하고 필요한 모든 조치를 강구하라는 대통령의 지시가 있었다”며 “모든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국민께 상황을 시시각각 전달해서 확산을 막도록 해 달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윤 수석은 우한 폐렴과 관련해 청와대 국가위기관리센터가 컨트럴타워 역할을 한다고도 밝혔다. 2015년 박근혜정부 당시 늑장 대응 논란이 벌어진 ‘메르스 사태’를 반면교사 삼아 신속대응을 주문한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우한 폐렴 증상이 나타나면 병원부터 곧바로 찾는 대신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긴급 전화번호인 ‘1339’로 연락해 조치를 받도록 적극 홍보하라고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우한 폐렴 대책에 전념하기 위해 이번 주 예정됐던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의 신년 업무보고도 연기했다.
윤 수석은 자유한국당 등이 요구한 중국인 입국 금지에 대해선 “세계보건기구(WHO)도 이동금지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며 “현 단계에서 WHO 결정을 벗어나는 상황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이날 “감염이 확산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노력이 가장 중요하다”며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의료기관 간 긴밀한 정보공유와 소통을 강조했다. 정 총리는 서울 동작구 보라매병원을 찾아 “정부는 현재 상황을 매우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지시했다. 정 총리는 2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우한 폐렴 대응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전세기 투입 시점과 국내 방역대책 등을 종합적으로 논의해 결정할 예정이다.
임성수 최승욱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