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천 시동 건 한국당, 친박 내치고 새보수 품을까

입력 2020-01-28 04:06

자유한국당이 27일 공천관리위원회(공관위) 2차 회의를 열고 공천 심사 작업을 본격화했다. 현역 의원 공천 배제(컷오프) 기준과 본선 진출자를 가리는 경선 룰을 정하는 것이 핵심 과제다.

공관위는 이날 비공개 회의에서 총선 출마 후보자들의 자격심사 기준을 논의했다. 김형오(사진) 공관위원장은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앞서 총선기획단이 정한 공천 배제 기준보다) 더하면 더했지 덜하진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한국당 총선기획단은 현역의원 30%를 의무적으로 공천에서 배제해 절반 이상을 물갈이한다는 원칙을 발표했다. 공관위는 총선 후보 공모가 마무리되는 다음 달 5일까지 컷오프 기준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공관위는 현역 의원들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하는 안도 의결했다. 공관위는 여론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컷오프 비율을 정한다는 방침이다.

김 위원장은 회의 시작 전 모두발언을 통해 개헌 저지선인 101석을 총선 최소 목표치로 제시했다. 또 공관위가 황교안 대표와 ‘원팀’으로서 정치적 책임을 함께 질 것이란 점도 강조했다. 발언 말미에선 사견을 전제로 박근혜 전 대통령을 석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당 안팎에선 세대교체 요구에 따라 텃밭인 영남 지역의 다선 의원들이 물갈이 대상에 오르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온다. 박 전 대통령 탄핵에 책임 있는 인사들도 쇄신 대상으로 꼽힌다. 친박근혜계 의원들 사이에선 공관위의 칼날이 자신을 향할 수 있다는 우려도 감지된다. ‘당 해체’를 주장하며 친박계를 강하게 비판했던 김세연 의원이 공관위에 합류했다는 점도 그런 관측을 뒷받침한다.

통합을 논의 중인 새로운보수당과의 ‘교통정리’도 공관위의 중요 과제다. 통합이 성사되면 두 당 후보들이 겹치는 지역구는 경선이 불가피하다. 이 경우 경선 룰을 두고 양당 간 힘겨루기가 이어지면서 공천 잡음이 불거질 가능성이 높다.

한국당 내에서는 당원 비율이 적은 새보수당의 사정을 고려해 경선 시 국민 여론조사 반영 비율을 높이는 방안이 거론된다. 무작위로 뽑은 배심원단을 공천 심사에 활용하자는 이야기도 나온다. 황 대표는 새보수당이 결단을 내리고 신당에 합류하는 만큼 상당한 수준의 공천 배려를 해줘야 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새보수당 의원이 현역으로 있는 지역구에 한해 별도 특별공관위를 구성, 심사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김 위원장은 새보수당 현역 의원들 공천을 후순위로 미룰 수도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심우삼 기자 s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