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민당, 올 봄 시진핑 방일 놓고 찬반론 분분

입력 2020-01-24 04:05
시진핑(오른쪽)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해 12월 23일 오후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중일 정상회담을 하기에 앞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를 영접하고 있다.

일본 집권 자민당에서 올봄으로 예정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국빈방문을 앞두고 찬반 여론이 나뉘고 있다. 시 주석의 국빈방문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아베 신조 총리는 눈치를 보며 균형 잡기에 집중하는 모양새다.

요미우리신문은 23일 니카이 도시히로 자민당 간사장이 전날 중의원 본회의 대표질의에서 시 주석의 방일이 “역사적으로 의의가 크다”며 긍정 평가를 내렸다고 보도했다. ‘포스트 아베’ 후보인 기시다 후미오 자민당 정조회당도 “중국과의 관계를 컨트롤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그 일환이 국빈으로서의 시진핑 방일”이라고 말했다.

앞서 아베 총리는 지난해 6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앞두고 가진 중·일 정상회담에서 시 주석에게 “벚꽃이 필 무렵 일본 국빈으로 초청해 양국 관계를 다음 단계로 끌어올리고 싶다”고 말했고, 시 주석은 “좋은 아이디어”라며 화답했다.

하지만 자민당 내에서도 보수 성향의 정치인들은 시 주석의 국빈방문에 제동을 걸고 있다. 자민당 내 ‘일본의 존엄과 국익을 지키는 모임’은 지난 21일 “영토 침입이 해결되고 심각한 인권탄압이 개선된 뒤에 (시 주석) 방일은 환영받을 수 있다”는 성명을 정부에 제출했다. ‘영토 침해’란 중국과 일본이 영유권 분쟁을 벌이는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에 중국 선박이 항행하는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인권탄압은 중국의 신장위구르족 탄압 의혹, 홍콩 시위 사태 등을 말한다.

자민당 내에서는 지난달에도 시 주석의 방일을 재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중국이 홍콩 시위 사태와 중국 정부의 일본 교수 구금 사태 등에서 보이는 반인권적 태도를 고려했을 때 시 주석에게 최대 예우를 하는 게 성급하다는 비판이었다. 중국은 2015년부터 스파이 행위 등을 이유로 최소 9명의 일본인을 체포·기소해 상당수 유죄 판결을 받았다.

아베 총리는 양쪽 눈치를 보고 있다. 아베 총리는 중의원 본회의에서 “일본과 중국은 지역·세계 평화와 번영에 큰 책임을 가지고 있다”며 “(시 주석) 국빈방문을 그 책임을 제대로 다할 의사를 국내외에 명확히 보여주는 기회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지난 20일 시정방침 연설에서도 시 주석의 국빈방문에 대해 말을 아꼈다. 오히려 도쿄 올림픽·패럴림픽과 관련해서는 이례적으로 대만만 언급했다. ‘일국양제’를 내건 중국과의 관계에서 대만은 민감한 주제다. 당시 시 주석 방일을 반대하는 보수 성향 의원들은 박수를 쳤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