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검찰총장이 22일 이성윤 신임 서울중앙지검과 대면해 1시간여에 걸쳐 서울중앙지검 현안과 관련한 업무보고를 받았다. 통상의 주례보고에 형식이었지만 사법연수원 동기인 검찰 ‘넘버 원’과 ‘넘버 투’의 만남은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 검사장급에 이어 정권을 겨냥해온 수사팀 실무진도 교체될 것으로 전망되는 검찰 인사 전날이었다. 주요 인사들의 사법처리 방향에 대해 둘의 의견이 엇갈렸는지도 관심사였다. 세부적인 대화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대검찰청에 따르면 윤 총장은 이날 오후 4시쯤 서울 서초구 대검에 있는 총장 집무실에서 이 지검장을 대면해 업무보고를 받았다. 지난 8일 검사장급 인사 후 서울중앙지검의 수사 현안과 관련해 윤 총장과 이 지검장이 만나 대화를 나눈 것은 처음이다. 둘은 지난 16일에도 회동했지만 수사와 관련한 언급은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윤 총장은 이 지검장으로부터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2부(부장검사 김태은)의 청와대 선거개입 의혹 사건에 대한 보고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윤 총장은 애초 울산지검에서 살피던 청와대 선거개입 의혹을 지난해 11월 서울중앙지검에서 수사토록 하며 의지를 보여 왔다.
청와대 선거개입 의혹 사건은 윤 총장이 사실상 가장 관심을 가진 사건이지만 청와대의 계속되는 압수수색 불응에 따라 수사는 답보 상태다. 청와대는 지난 10일부터 2주째 압수수색에 응하지 않고 있다. 이명박정부 이후 청와대가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받은 검찰·특검의 임의제출 요구에도 응하지 않는 사례는 처음이다. 윤 총장은 진상을 밝혀 수사를 제대로 끝내야 한다는 뜻을 이 지검장에게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법조계는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입시비리 공범으로 지목된 최강욱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의 사법처리 방침에 대해서도 윤 총장과 이 지검장이 대화했을 것이라고 관측한다. 최 비서관은 이날 청와대 관계자를 통해 “참고인이므로 서면조사로 충분하다” “전형적인 조작수사, 비열한 언론플레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2부(부장검사 고형곤)가 사실상 최 비서관 기소 의견을 굳혔을 정도로, 최 비서관은 애초 피의자 신분이었다.
검찰 관계자는 “등기로 지난달 두 차례, 이달 한 차례 총 세 차례 피의자 신분임을 명시해 출석을 요구했다”며 “최 비서관이 등기를 수령하고도 불응했다”고 했다. 최 비서관은 청와대를 통해 “피의자로 전환했다는 통보를 받은 바 없다”고 반박했지만, 검찰은 “미란다 원칙과 죄명까지 쓰인 피의자용 출석 요구서였다”고 밝혔다. 검찰 관계자는 청와대를 통해 최 비서관의 입장이 계속 흘러나오는 데 대해 “하실 말씀이 많으시면 출석해 진술하면 될 것 같다”고 했다.
감찰 무마 비리를 밝혀온 서울동부지검 형사6부(부장검사 이정섭)도 인사를 앞두고 백원우 민주연구원 부원장 등 조 전 장관의 직권남용 혐의 공범들의 기소 여부를 최종 조율 중이다. 수사팀과 지휘부 간에 기소 여부를 놓고 이견이 있다는 말도 흘러나오고 있다. 다만 검찰 관계자는 “불기소가 결정된 상황은 전혀 아니다”고 말했다.
구승은 임성수 기자 gugiz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