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원우 전 청와대 민정비서관 등 친문 핵심 인사들이 유재수 전 부산시 경제부시장에 대한 청와대의 감찰 무마를 집요하게 요청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백 전 비서관은 조국 전 법무부 장관(당시 청와대 민정수석)에게 “정권 초기 유 전 부시장의 비위가 크게 알려지면 안 된다”는 의견을 밝혔고, 이후 조 전 장관은 감찰 중단을 결정한 것으로 검찰 수사 결과 파악됐다.
곽상도, 주광덕 자유한국당 의원이 20일 법무부에서 제출받은 검찰 공소장에 따르면 2017년 감찰 당시 백 전 비서관은 유 전 비서관이 핵심 인사들과 친분이 깊다는 점을 들며 그의 비위가 알려지면 안 된다는 주장을 조 전 장관에게 전달했다.
백 전 비서관은 박형철 전 반부패비서관에게 “유재수를 봐주는 건 어떻겠느냐”는 취지의 제안을 두 차례 했다. 박 전 비서관은 “이건 수사 의뢰까지 검토해야 하는 사안”이라며 거절했다. 이후 박 전 비서관은 조 전 장관에게 그간 조사한 유 전 부시장의 비위 내용을 보고했다. 조 전 장관은 “여기저기서 전화가 많이 온다”며 “백 비서관과 처리를 상의해보라”고 지시했다.
그러자 백 전 비서관은 조 전 장관에게 “참여정부 인사들이 유재수가 자신들과 가깝고 과거 참여정부 당시 고생을 많이 한 사람이니 봐달라고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유재수가 현 정부 핵심 요직에 있고 현 정부 핵심 인사들과 친분 관계가 깊은데 정권 초기에 이런 배경을 가진 유재수의 비위가 크게 알려지면 안 된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후 조 전 장관은 백 전 비서관을 통해 “감찰은 대부분 ‘클리어(Clear)’됐고, 일부 개인적인 사소한 문제만 있으니 인사에 참고하라”고 금융위원회에 통보한 것으로 조사됐다. 감찰 중단에 반대했던 박 전 비서관은 이 과정에서 배제됐다.
공소장에 따르면 친문 인사들의 유 전 부시장에 대한 감찰 무마 요청은 매우 적극적으로 이뤄졌다. 윤건영 전 청와대 국정기획상황실장, 천경득 청와대 총무비서관실 선임행정관, 김경수 경남도지사 등이 나섰다. 김 지사는 백 전 비서관에게 수차례 연락해 “유 전 부시장은 참여정부 시절 우리와 함께 고생했다. 지금 감찰을 받고 있는데 억울하다고 하니 잘 봐달라”는 취지로 부탁했다. 윤 전 실장 역시 백 전 비서관에게 “참여정부 때 청와대 행정관으로 근무했고, 나와도 가까운 관계”라고 언급했다고 한다.
천 행정관은 이인걸 전 특감반장을 만나 “참여정부에서도 근무한 유재수를 왜 감찰하느냐”며 “청와대가 금융권을 잡고 나가려면 유재수 같은 사람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것으로 조사됐다. 유 전 부시장의 참여정부 근무 경력을 내세워 친문 인사들이 전방위로 구명활동을 펼친 셈이다.
검찰은 “조 전 장관은 최소 네 차례 유 전 부시장 감찰 보고를 받았고, 경징계로 마무리될 사안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며 “계속 감찰을 통해 의혹을 확인할 필요성이 있고, 혐의 내용이 더 중대해질 상황인 것도 충분히 인지했다”고 공소장에 적시했다.
조민아 기자 minaj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