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의 지식재산(IP) 금융시장 규모가 1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특허청에 따르면 지난해 신규공급 기준 지재권을 담보로 실행하는 ‘IP담보대출액’은 4331억원이었다. 지재권을 기반으로 보증서를 발급하는 ‘IP보증액’은 7240억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또 우수 지재권을 보유한 기업이나 지재권에 직접 투자하는 ‘IP투자액’이 1933억원을 기록하는 등 총 IP 금융시장의 규모가 1조3504억원에 달했다.
최근 몇 년간 점진적으로 증가하던 IP 금융 규모는 2018년 7632억원을 기록했고 지난해 전년보다 5872억원(77%)이 증가하는 큰 성장세를 보였다. 정부의 혁신금융 기조와 지식재산에 대한 기업·금융권의 인식이 높아진 결과로 풀이된다. 특히 2018년 884억원에 불과했던 IP담보대출은 전년 대비 4.9배 증가한 4331억 원에 달했다.
은행별로는 하나은행이 1230억원, 신한은행이 880억원, 국민은행이 692억원 순이었다. IP투자는 흥국증권이 동영상 특허기술을 기반으로 113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했다.
박원주 특허청장은 “2020년은 본격적인 지식재산 금융시장 형성의 원년이 될 것”이라며 “우리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이 금융의 도움을 받아 혁신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
국내 지식재산 금융시장 규모 1조 돌파
입력 2020-01-17 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