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새로운보수당 의원이 우리공화당과의 통합 반대를 외치며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의 ‘묻지마 통합’에 제동을 걸었다. 보수통합을 위해 일단 ‘개문발차’한 혁신통합추진위원회(혁통위)를 두고도 곳곳에서 잡음이 터져 나오고 있다. 하지만 결국 4·15 총선을 앞두고 보수 진영 대통합이 이뤄지면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의 강을 건너자’는 통합 원칙이 무의미해질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유 의원은 15일 당 회의에서 “상식적으로 우리공화당까지 통합하면 정말 탄핵의 강을 건너고 탄핵을 극복하는 통합이 되겠느냐”며 “탄핵의 강을 건너자고 했는데, 거기에 가장 반대하는 세력과 한국당이 손을 잡는다면 그건 우리에 대해선 통합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당 중심의 통합을 하고 우리 숫자를 몇 개 갖다 붙이는 통합을 국민이 정말 새 집 지었다고 생각하겠느냐. 총선에서 진정한 승리를 하기 위해선 보수 전체가 대오각성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혁통위 구성과 운영을 두고도 불만이 나왔다. 친이명박계 출신 인사들이 대거 참여하는 데 대해 ‘계파 싸움을 다시 하자는 것이냐’는 목소리가 분출했고, 결국 김은혜 전 MBN 특임이사와 안형환 국민통합연대 사무총장 등이 위원에서 물러났다. 이날 혁통위 회의에선 지난 9일 박형준 위원장이 선임된 것에 대해 새보수당의 공식 의사결정을 거치지 않고 발표됐다는 새보수당 측 항의가 있었고, 박 위원장은 유감을 표명했다.
새보수당은 통합 논의에 속도를 내기 위해서는 한국당과의 별도 통합 협의체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하태경 새보수당 책임대표는 “민간단체 중심으로 이뤄진 혁통위는 다양한 여론을 수렴하기 위한 임의기구이기 때문에 보수 재건과 혁신 통합을 향한 효율적이고 진정성 있는 논의를 위해서는 양당 간 대화 기구가 필요하다”며 “우선 양당 간 논의를 중심으로 하고, 그 원칙에 동의하는 세력들과 논의를 확대해 나가자”고 했다. 새보수당은 혁통위를 통한 대화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황 대표는 연일 ‘대통합론’을 강조하며 새보수당뿐 아니라 다른 보수 세력에도 손을 내밀고 있다. 그는 충북도당 신년인사회에서 “시시비비하고 내부총질 할 것이 아니라 모든 자유 우파 세력들이 다 통합해야 한다”며 “우리가 아직도 힘이 부족한데 뭉치지 않으면 이길 확률이 떨어진다. 마음에 있는 분노들 좀 내려놓고 다 하나로 뭉쳐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당 내부에서는 “8석짜리 당(새보수당)이 무슨 지분을 이렇게 요구하느냐”는 불만이 나온다. 무소속 이언주 의원도 새보수당을 겨냥해 “기존 세력이 추진하는 나쁜 통합은 거부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유승민 의원과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까지 포함하는 통합이 아니고는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없기 때문에 통합 논의를 중단할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한국당이 ‘아스팔트 보수’ 세력으로 불리는 강경 보수층을 완전히 배제하는 방식으로는 지지층을 결집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우리공화당이 선거 연대 방식으로 합류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홍문종 우리공화당 공동대표는 “한국당과 새보수당 간 통합 논의가 어느 정도 진행된 뒤 통합 원칙을 다시 논의하는 과정을 고려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심희정 김경택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