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미국이 요구하고 있는 호르무즈해협 경비연합체 파병 문제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나타내면서 “현실적인 방안을 찾겠다”고 밝혔다. 파병 여부에 대해 아직 결론을 내리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14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호르무즈 파병 문제는 여러 가지 복잡한 문제들이 얽혀 있다”며 “가장 중요하게 여겨야 할 것은 현지에 진출해 있는 우리 기업과 교민의 안전 문제일 테고, 원유 수급이나 에너지 수송 문제도 관심을 가져야 할 대상”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한·미동맹 및 이란과의 외교 관계도 주요 고려 사항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전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현실적 방안을 찾아 나가겠다”고 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과 회담하기 위해 전날 출국한 강경화 장관도 “(파병에 관한) 미국 측 생각을 들어볼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정부에서는 미국이 주도하는 경비연합체에 참여하는 방식보다는 소말리아 아덴만 해역에서 임무 수행 중인 청해부대를 이동 배치해 독자활동을 벌이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문 대통령은 미국과의 방위비 분담금 협상에 대해선 “아직도 거리(한·미 간 입장 차)가 많이 있지만 점점 서로 이해의 폭이 넓어지고 간격도 좁혀지고 있기 때문에 빠른 시일 내 타결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일 관계를 빠르게 개선해야 한다는 의지도 피력했다. 문 대통령은 “(강제징용 피해자에게 배상할 책임이 있는 일본 기업의 한국 내 자산) 강제 매각을 통한 현금화가 이뤄지는 데 시간적 여유가 있지 않기 때문에 한·일 간 대화가 더 속도 있게 촉진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일본 기업 자산 매각이 현실화되면 양국 간 갈등 해결이 더욱 어려워지기 때문에 최대한 빨리 해법을 찾아야 한다는 의미다.
문 대통령은 최근 강제징용 피해자 단체와 한·일 시민단체가 제안한 ‘공동협의체’에 한국 정부가 참여할 의향이 있다면서 일본 정부를 향해 “일본도 해법을 제시하면서 한국과 머리를 맞대야 한다”고 촉구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