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자동차가 미래 모빌리티 산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체질 전환에 나선다. 29조원을 투자해 오는 2025년까지 세계 전기차 시장 점유율을 6.6%로 끌어올리고 모빌리티 솔루션 및 ‘목적 기반 모빌리티(PBV)’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기아차는 14일 여의도 콘래드서울 호텔에서 ‘CEO 인베스터 데이’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중장기 미래 전략 ‘플랜 S’와 ‘2025년 재무 및 투자 전략’을 공개했다.
플랜 S는 기아차의 중장기 미래 전략으로, ‘S’는 ‘전환(Shift)’을 가리킨다. 기아차 플랜 S는 기존 내연기관 위주에서 전기차(EV) 사업 체제로 전환하고, 선택과 집중의 방식으로 맞춤형 모빌리티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브랜드 혁신 및 수익성 확대를 도모한다는 게 핵심이다.
특히 미래 사업 체제로 변화하는 기아차의 모습을 고객 및 주주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브랜드 정체성(BI)과 기업 이미지(CI), 디자인 방향성(DI), 사용자 경험(UX) 등 전 부문에 걸쳐 변화를 줄 예정이다.
기아차는 2025년 전 차급에 걸쳐 전기차 11종 풀라인업을 갖추고 글로벌 점유율 6.6% 및 친환경차 판매 비중 25%를 달성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전기차 사업이 본격적인 궤도에 오르는 2026년에는 전기차 50만대, 친환경차 100만대 판매(중국 제외)를 추진할 계획이다.
내년 첫 번째 전기차 전용 모델 출시를 시작으로 2022년부터 승용,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다목적차량(MPV) 등 전 차급에 걸쳐 신규 전기차 모델을 투입할 예정이다.
기아차는 신규 비즈니스 모델로 환경오염 등 글로벌 도시 문제 해결을 위한 전기차·자율주행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차량 공유, 전자상거래 등의 확대로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PBV 시장에서 선도적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7~11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0’에서 개인용 비행체(PAV)와 PBV를 중심으로 하는 미래 도시의 모빌리티 청사진을 제시한 바 있다.
기아차는 글로벌 대도시를 중심으로 지역 사업자 등과 함께 전기차 충전소, 차량 정비 센터, 각종 편의시설 등이 갖춰진 ‘모빌리티 허브(Hub)’ 구축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모빌리티 허브는 환경 규제로 도시 진입이 불가한 내연기관 차량과 전기차의 환승 거점으로 활용된다.
기아차는 향후 허브 내 인프라를 이용한 소규모 물류 서비스, 차량 정비 등 신규 사업 모델도 발굴할 예정이다. 아울러 투자 재원 마련 및 주주 가치 극대화 등을 위해 영업이익률 6%, 자기자본이익률(ROE) 10.6%를 달성한다는 목표도 밝혔다.
박한우 기아차 사장은 “자동차산업의 패러다임이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지금이야말로 기아차가 미래 고객 가치를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완벽하게 탈바꿈할 수 있는 중요한 시기”라면서 “변화에 단순히 적응하는 게 아니라 혁신을 주도함으로써 새로운 도약의 기회로 삼겠다”고 강조했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