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속·초저지연 특성을 가진 5G가 의료 분야로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병원 내에서 고화질 수술 영상을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고용량의 의료 데이터를 어디서나 신속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KT와 삼성서울병원은 이 같은 ‘스마트 혁신 병원’ 구축을 위해 5G 의료서비스를 공동으로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를 위해 KT는 삼성서울병원에 ‘기업전용 5G’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수술실과 양성자 치료실 등에 서비스 환경을 구축해 시범운영했다. 세계 최초로 실제 의료 업무에 5G를 적용해 신속한 환자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례라는 설명이다.
양사는 전날 기자간담회를 열고 지난해 9월 5G 스마트 혁신병원 구축을 위해 양해각서를 체결한 뒤 검증을 마친 개발 과제의 성과를 발표했다. 병원 전역에 5G 네트워크를 설치해 시스템 구축이 완료되면 ‘병동-검사실-사무실’ 등을 오갈 필요가 없어 공간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 이로써 의료서비스의 질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먼저 5G 도입에 따라 병원 내 디지털 병리 분석과 의료 영상 조회 등이 빠르고 간편해진다. 수술 중 떼어낸 조직의 이미지를 최고 화질로 확대하면 장당 용량이 4기가바이트(GB)에 달하기 때문에 기존 시스템으로는 신속한 데이터 전송이 어려웠다. 결국 병리과 전임의들이 도보로 20분 거리를 이동해 다른 전문가들의 현미경 진단 등 소견을 들어야 했다.
하지만 5G 네트워크를 이용하면 병원 내 어디서나 고용량 병리 데이터 조회가 가능해 다양한 병리과 교수진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병리를 분석할 수 있다고 KT와 삼성서울병원 측은 설명했다. 표홍렬 삼성서울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교수는 “담당의 10여명이 하루 환자 500명의 영상정보를 흩어져 있는 장비를 통해 일일이 확인해야 했는데, 5G를 통해 공간 제약이 해결됐다”고 평가했다.
5G 의료 시스템은 수술 지도 및 교육 분야에서도 활용된다. 이외에도 수술실 의료폐기물을 처리하는 5G 자율주행 로봇, 환자가 음성만으로 병실을 제어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반 환자 지원 시스템 ‘스마트 케어 기버’도 개발됐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