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K TV 기술 중국보다 2년 이상 앞서… 품질 차이 점점 벌려갈 것”

입력 2020-01-09 04:04

삼성전자 소비자가전(CE) 부문장인 김현석(사진) 사장은 8K TV 관련 기술이 중국 업체들보다 2년 이상 앞선다고 자신했다. 글로벌 TV 시장에서 하이얼, TCL, 하이센스 등 중국 업체들이 CES 2020에서도 8K TV를 전시하며 무섭게 추격하고 있지만 여전히 기술 우위를 점하고 있다는 의미다.

김 사장은 7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시저스 팰리스 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삼성전자는 8K 관련 준비를 오랜기간 해 왔다”며 “중국에서 8K TV를 내놓는 것은 기술 추이상 당연하지만 삼성전자와는 품질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그런 ‘갭’을 점점 벌려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8K 화질 구현을 위해 반도체 기술력이 필수적인데 삼성이 확실한 우위에 있다는 분석이다.

김 사장은 올해 TV 사업 중 가장 역점을 두고 있는 분야로 8K 시장을 꼽았다. 지난해보다 3배 이상의 성장을 이뤄내겠다는 포부다.

CES 개막을 앞두고 ‘더 월’ 등 가정용 마이크로LED TV 제품 출시 계획을 밝힌 것에 대해서는 “화질뿐 아니라 화면 크기, 화면비, 해상도 등에 제약이 없어 미래 TV가 가야 할 방향을 대표하는 제품”이라고 평가했다.

삼성전자는 홈 IoT(사물인터넷) 사업 확대에도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김 사장은 “홈 IoT를 하고 있다. 한 번 수주하면 3000만 달러가 들어올 정도로 굉장히 큰 프로젝트”라며 “신축 아파트 전체를 IoT 시스템으로 연결하는 사업을 하고 있는데 국내 기준 약 2만 가구를 수주했다”고 밝혔다.

이어 “IoT 플랫폼인 스마트싱스를 전 세계에서 1억1200만명이 다운받았고 적극적인 사용자가 5200만명 정도 된다. 상반기 국내에서도 IoT 플랫폼을 출시할 것”이라며 “모든 디바이스를 IoT 플랫폼을 중심으로 연결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공언했지만 가격 문제로 출시가 지연됐던 로봇 제품도 올 상반기 중에 내놓을 계획이다. 삼성전자의 최초 로봇은 가정용 제품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라스베이거스=김성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