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퇴근길 직장인의 따분함을 달래주는 ‘이어폰’이 귀 건강을 해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청력 장애로 진단된 환자 점차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청력장애 진단 환자는 2008년 22만2000명에서 2018년 37만3000명으로 증가했다. 10년 만에 약 70% 늘어난 수치다.
청력 장애는 주로 50대 이후에서 자주 발견되지만 최근 젊은 층 사이에서도 발병이 늘고 있다. 특히 소음에 의해서 발생하는 ‘소음성 난청’이 많다. 이비인후과 전문의들은 이러한 문제의 원인으로 ‘이어폰 사용’을 꼽는다. 문석균 중앙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일반형 이어폰, 커널형 이어폰, 골전도 이어폰 등 이어폰의 종류는 귀 건강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며 “귀가 노출된 소음의 총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어떠한 환경에서 어느 정도의 음량으로 듣는지가 귀 건강에 더 중요하게 작용한다”고 설명했다. 문 교수는 “소음성 난청과 나이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가 많이 진행되지 않았지만, 소아의 경우, 언어의 발달이 이뤄지는 시기라 청력 보호에 대한 중요성이 커 주의해야 한다”며 “세계보건기구(WHO)에서도 2017년 노인과 18세 이하 청소년은 이어폰 사용에 주의하라고 권고했다”고 밝혔다.
이정엽 강북삼성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주변이 시끄러우면 음악을 제대로 들을 수 없다는 생각에 볼륨을 높이게 된다. 그러면 달팽이관에 도달하는 소리의 강도, 음압도 커진다. 이로 인해 귀가 손상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WHO에서 모든 기계의 최대 볼륨 60% 미만으로 60분 이상 사용하지 말도록 권장하고 있다” 밝혔다.
만약 ▲시끄러운 곳에서 대화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경우 ▲여성 또는 아이가 말하는 높은 톤의 소리가 잘 안 들리는 경우 ▲전화통화를 할 때 예전보다 잘 들리지 않는 경우 ▲다른 사람의 말을 잘 알아듣기 위해 귀를 기울여야 하는 경우 ▲TV를 볼 때 다른 사람들이 볼륨이 너무 크다고 지적하는 경우 ▲귀에서 이명 현상이 생긴 경우 중 3개 이상 해당한다면 청력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노상우 쿠키뉴스 기자 nswreal@kukinews.com
60분 이내 60% 음량으로… 이어폰 사용시 귀 보호법
입력 2020-01-12 1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