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슨 복이 있어서 이런 거를 받는지 모르겠다. 저 말고도 아프신 분들이 많은데 저한테만 이런 행복이 와서 죄송하면서도 감사하다.” 천안시 지역사회 통합돌봄 선도사업(커뮤니티 케어)에 참여한 이점순(74·여)씨의 말이다.
이 씨는 해당 사업을 통해 김민철 천안사랑인한의원장으로부터 한의 방문진료 서비스를 받고 있다. 천안시는 지난해 11월부터 지역사회 통합돌봄 선도사업 시범사업을 시행 중이다. 현재 2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의 방문 진료 서비스를 진행한다. 사업에 참여한 한의사들은 점심시간이나 진료시간 이후에 방문 진료를 하고 있다.
김 원장은 점심시간에 이 씨의 집을 방문하기 위해 나섰다. 휴대가 가능한 침, 뜸, 부항, 약침, 봉침(벌침) 등을 챙긴 김 원장은 “예전 영화를 보면 자전거를 타고 왕진 가방을 가지고 했던 것 같은데, 별도의 왕진 가방 없이 필요한 것만 챙겨 다니고 있다”며 웃으며 말했다.
이 씨는 사실 이 사업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했고 기대도 하지 않았다. 보건소로부터 사업을 소개받았지만, 실제로 이런 제도가 시행될까 하는 의구심이 들었기 때문이다. 이 씨는 “몸이 안 좋아 밖으로 나가기 어려운 사람이다 보니 이런 정보를 접할 수가 없다. 보건소에서 기회를 줘서 너무 좋다”고 말했다.
“어디가 아프세요?”라는 김 원장의 질문에 이 씨는 “다 아파요. 근데 다리 당기는 건 조금 가라앉은 것 같아요”라고 말했다. 이 씨는 거동이 불편해 가까운 거리에 있는 정형외과도 택시를 불러 이동했었는데 이렇게 의료진이 방문해서 진료를 해주니 감사하다고 몇 번이고 반복했다.
치료는 30분 남짓 걸렸다. 김 원장은 침과 뜸, 약침, 봉침 등을 하면서 환자의 상태를 살폈다. 이 씨는 “몸도 안 좋고 집에 환자도 있다 보니 속상해서 매번 울고 잠도 못 자고 그랬다”며 “이러한 사업으로 삶에 대해 욕심이 생겼다. 우리 같은 사람도 살 수 있다고 느끼게 해줬다”라고 말했다.
김 원장은 “우연히 접했는데 사업의 취지가 좋아서 참여하게 됐다”며 “만성질환자나 거동이 불편해 병원에 가지 못하는 분들도 치료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해는 홍보가 미비해 환자와 한의사 신청자가 적었는데 올해 100명 넘는 환자가 신청했다”며 “하지만 한의사들의 신청은 그에 따라가지 못한다. 한의사 한 명이 볼 수 있는 최대 환자 수는 2명이나 3명이다. 더 많은 한의사의 참여를 부탁한다”고 당부했다. 이와 함께 “왕진 사업에는 한의사가 적격”이라며 “한의사가 쓰는 의료장비 대부분은 휴대할 수 있다. 복약지도나 상담 등 예방의학적인 측면만이 아니라 한의사들은 실제 치료까지 진행할 수 있다. 시범사업에서 그치지 말고 본 사업으로 이어갔으면 한다”고 밝혔다.
노상우 쿠키뉴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