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아파트 분양시장은 고분양가 관리지역의 분양가 상한기준 변경과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적용 발표가 연중 이어지며 혼란스러운 한 해를 보냈다. 정책 발표에 따라 건설사·조합은 분양가격과 일정을 조정하기 바빴고, 청약대기자들은 열심히 계산기를 두드리며 로또청약을 찾아 헤맸다. 올해도 전국에서 31만5000가구 물량이 분양시장에 풀린다. 제도변화가 시장을 좌우 최근 경향성에 비춰볼 때 올 4월말까지 유예된 상한제 적용이 또 한 번의 ‘터닝포인트’로 작용할 전망이다.
2020년 공급 예정 물량 중 19만8503가구는 수도권에 집중된다. 경기도가 9만5414가구로 가장 많은 공급이 계획돼 있다. 전체 299개 단지 중 3000가구 이상 매머드급 단지는 12개 단지로 서울과 경기가 각각 4개 단지, 인천과 부산에서 각각 2개 단지가 계획돼 수도권 재개발·재건축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결국 분양가상한제 적용이 주요 분양 성패의 변곡점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지난해 분양 물량은 정책변경 등의 영향으로 다수가 올해로 연기됐다. 시장 내 최대 관심사 중 하나인 과천 지식정보타운 분양계획단지 모두 2020년 이후로 분양일정이 변경됐고, 또 다른 도시정비 핵심대상지인 강동구 ‘둔촌주공재건축’, 강남구 ‘개포주공1단지재건축’ 등도 올해 분양이 예고돼 있다.
정부는 12·16 대책 발표와 함께 서울 13개구(강남, 서초, 송파 등)와 경기 3개시(과천, 하남, 광명) 13개동, 서울 3개구 27개동을 추가로 지정했다. 해당 지역에 포함되는 재건축·재개발 단지 중 관리처분계획인가를 받았거나 신청한 단지는 올해 4월까지 입주자모집공고를 신청해야 분양가상한제 적용을 피할 수 있다. 상한제 적용지역 내 올해 분양되는 아파트가 51개 단지, 7만2502가구이며 이 중 4월까지 분양하는 단지는 11개 단지 2만6048가구다. 5월 이후에도 11개 단지 1만6837가구가 예정돼 있어 급격한 공급감소 우려는 크지 않은 편이지만 상한제 적용 자체가 시장 내 최대 변수임은 분명하다.
이에 따라 청약수요자들의 예상되는 움직임은 크게 2가지로 압축된다. 상한제 적용 이전 4월까지 밀어내기 물량 막차에 탑승하려는 수요자들과 상한제 적용 이후 분양가 인하를 기대하며 청약에 나서는 수요가 양분될 가능성이 크다. 다만 개포주공과 둔촌주공 등 인기지역은 로또 분양을 노리는 수요자들이 적극적으로 청약에 나설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7일 “상한제 적용에 따른 분양가 인하효과가 시장에 반영되고 시세와의 ‘갭’이 커진다면 청약시장 과열은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특히 재개발·재건축 분양이 지난해(37%)에 비해 올해(55%) 비중을 더 키우면서 이 같은 경향은 시간이 지날수록 두드러질 공산이 크다.
한편 올 2월 청약시스템 이관을 앞두고 1월 분양시장은 잠시 숨고르기에 들어갔다. 업계에 따르면 이번주 견본주택을 여는 분양 아파트는 전무하다. 국토교통부가 다음달 1일부터 기존 금융결제원 아파트투유 청약시스템에서 이뤄지던 주택 청약업무를 한국감정원으로 이관하는 까닭이다. 금융결제원은 지난달 마지막날 기준 입주자모집 공고로 청약 업무를 마무리하고 오는 31일부터는 시스템에서 완전히 손을 뗄 예정이며 감정원도 청약 시스템 개발을 끝내고 이관만 기다리는 상태로 알려졌다.
부동산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1월 둘째 주 전국 14곳에서 총 7689가구의 1순위 청약접수가 이뤄진다. 시장 전반이 잠시 휴업상태에 접어든 가운데서도 인천 ‘검단 파라곤 센트럴파크’와 ‘소새울역 신일 해피트리’, 충남 ‘당진 아이파크’ 등의 청약 당첨자 발표와 계약이 진행될 예정이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