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새해 도정 4대 키워드는 청년특별도, 인재양성, 동남권공동체, 도민이 체감하는 변화로 정했습니다.”
김경수 경남도지사는 2일 국민일보와의 신년 인터뷰에서 “각종 지역문제는 공동체가 함께 풀어나가는 과정이 중요하기 때문에 지역사회의 소통과 협력·협치를 보다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현안인 동남권 신공항에 대해서는 ‘조금 더뎌도 제대로’ 가야 한다는 확고한 신념을 전했다. 새해 최대 이슈인 총선과 관련해선 “당리당략을 앞세운 정쟁이 아니라, 경남과 국가의 미래를 위한 치열한 정책경쟁의 장이 됐으면 한다”고 했다.
김 지사는 지난해 ‘경남경제 재도약의 원년’으로 선포하고 3대 국책사업 추진과 함께 경남경제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했다고 자평했다.
“지난해 가장 큰 성과는 서부경남KTX(남부내륙고속철도) 정부재정사업 확정, 창원 스마트산단과 진해 스마트 대형 항만 유치 등 3대 국책사업을 통해 경남경제의 재도약 토대를 마련한 것이라고 평가합니다. 새해는 이러한 토대 위에서 혁신성장을 가속화하고 도민이 체감하는 변화를 만들어 가겠습니다.”
재판과 관련한 사과도 잊지 않았다. 그는 “뜻하지 않게 (드루킹 댓글조작 공모 혐의 재판으로) 많은 분들께 심려를 끼쳐드렸다. 어려운 시간 성원을 보내주신 도민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며 “불미스러운 일이 다시 생기지 않도록 남은 기간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새해에는 지난해 놓은 주춧돌 위에 도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결과들을 세워가겠다고 다짐했다. 지역사회의 공동체정신 회복에도 노력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동남권 신공항은 예산만 7조원이 넘습니다. 조금 더뎌도 제대로 가야 합니다. 관문공항 건설이라는 당초의 합의정신으로 돌아가 대구·경북과 부산·울산·경남이 정부와 함께 서로 윈윈할 수 있는 해법을 찾아야 합니다.”
김 지사는 청년 인구 이탈 방지와 인재 양성 방안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그는 “지금처럼 청년들이 계속 서울로, 수도권으로만 몰려가는 한 대한민국의 미래는 없다”며 “청년이 떠나가는 곳이 아니라 ‘청년이 돌아오는 경남, 찾아오는 경남’을 만들겠다”고 했다.
특히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사람과 인재가 경쟁력”이라며 “경남도가 직접 나서서 대학과 민간 기업이 함께 혁신인재를 양성하는 체계를 구축해 인재를 지역 공동체가 함께 길러내는 ‘교육특별도’를 만들겠다”고 했다.
신공항뿐만 아니라 인재 양성을 위해서도 동남권 공동체 의식 회복이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수도권의 중력을 이겨내려면 서로 협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 지사는 “동남권 메가시티 플랫폼을 만들어야 한다”며 “신산업, 교통, 물류, 관광, 문화, 환경, 인재양성 등 전 분야에 걸친 동남권 협력을 대폭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도정 방향도 지역사회의 소통과 협력·협치에 초점을 맞추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민관 협력사업을 강화하고 현장에서 제기되는 문제를 발 빠르게 해결해 나가는 체감도 높은 도정을 만들어 가겠다”고 약속했다. 또 “지역의 문제를 공동체가 함께 풀어나가는 과정이 중요하다”며 "새해에는 지역사회의 소통과 협력·협치를 보다 확대하겠다”고 했다.
김 지사는 마지막으로 “끊임없는 혁신이 경남의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라며 “변화의 속도를 높이고 효과를 확대하기 위한 행정 재정의 역할을 최대한 높이겠다”고 말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