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의 미래 100년을 결정할 핵심 현안이 올해 초 정해진다. 취수원, 엑스코선, 신공항 등 지역의 오랜 난제로 평가되는 만큼 결과에 따른 파장도 클 전망이다.
2일 대구시와 경북도에 따르면 낙동강 취수원 이전에 따른 지방자치단체들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환경부 연구용역 발표와 지자체 논의가 올해 초 이뤄진다.
대구 취수원 이전사업은 1991년 낙동강 페놀사고로 고통을 겪은 대구시가 취수원을 안전한 곳(구미산단 상류)으로 옮겨야한다며 2006년부터 추진한 사업이다. 경북 구미시의 반대로 답보상태에 머물렀다.
지난해 환경부가 나서 낙동강유역 통합물관리방안연구 용역과 구미 폐수무방류 시스템 적용연구 용역을 동시에 추진했다. 환경부는 용역결과를 바탕으로 낙동강 물 문제 해결을 위한 종합계획을 수립한다.
대구시 관계자는 “환경부의 지자체 의견수렴 과정이 끝나면 해당 지자체들이 모두 참여하는 협의 자리를 마련해 결론을 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도시철도 엑스코선 정부 예비타당성조사(경제성 분석) 통과 여부도 올해 초 결정 난다. 이 사업은 2018년 8월 예타 대상으로 선정됐다. 예타를 통과 하면 엑스코선은 도시철도 3호선처럼 모노레일 방식으로 건설될 가능성이 높다. 13개의 정거장(1~3호선 환승역 포함)을 잇는 노선이 생겨 대구 교통망이 바뀌는 것은 물론 엑스코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 금호워터폴리스 이시아폴리스 등 노선을 따라 대규모 개발도 이뤄질 전망이다.
대구·경북통합신공항 입지 결정을 위한 주민투표도 오는 21일 실시된다. 경북 군위 우보(단독 후보지)와 군위 소보·의성 비안(공동 후보지) 주민들의 손에서 대구·경북 사상 최대 사업의 운명이 결정된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