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광역 지자체 중 처음으로 지역어업 실태조사에 나선다. 제주도는 제주지역 어업 경영 실태와 어가 경제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내년 전국 최초로 어업실태조사(가칭)를 실시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국가통계의 지역특성 반영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행정안전부와 통계청, 제주도가 공동 추진하는 ‘지역 통계 표준매뉴얼 개발사업’의 하나다.
그간 통계청 발표 자료에는 지역별 결과가 담기지 않았다. 때문에 지자체들은 지역 실태를 인지하고, 맞춤형 정책을 수립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 왔다.
예를 들어 ‘제주어가 소득’에 관해 알고자 할 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은 ‘어가유형별 소득’ ‘경영주 연령에 따른 소득’ ‘가구원 수에 따른 소득’ 등 유형별 어가 소득을 자세하게 분류해놓고 있지만 국가단위의 값만 제공했다. 제주지역 통계를 관리하는 호남지방통계청 역시 ‘어가 수’ ‘어가 인구’ ‘어업별 어획량 ’ ‘선종별 어선 현황’ 등 일부 항목의 단순 연도별 자료만 발표하고 있다.
제주지역 어업실태조사가 내년에 완료되면 제주도는 그간 통계로 잡히지 않던 어가 소득, 어가 부채 실태와 지역별 비교 값을 통해 제주 실정에 맞는 어업인 복지정책과 정책 우선순위 설정에 큰 도움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채철 도 수산정책팀장은 “기존에 주어지지 않던 자료를 확보함으로써 어업인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 추진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내년 어업실태조사에는 제주지역 어업인들의 의식조사가 포함된다. 통계청 관계자는 “그간의 통계청 조사가 객관적인 지표의 중요도만큼 개인의 의식을 반영하는 데는 미흡한 측면이 있었다”며 “이번 조사에선 어업인들이 다른 업종으로 전환할 계획이 있는지, 수산 정책의 불만은 무엇인지 등 어가의 의견을 청취할 수 있는 항목이 다수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제주도는 조사 결과를 토대로 어업인 소득 증가와 경제 활성화 방안, 장기적인 부채 대책 마련 등 관련 정책을 수립할 방침이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
제주도, 광역 지자체 최초로 지역 어업 실태 조사
입력 2019-12-31 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