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북한의 무력도발 가능성에 ‘대응 조치’를 언급했다. 북한이 자체 설정한 연말 시한이 다가오면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등 고강도 무력 도발 우려가 고조되는 가운데 나온 미 외교·안보 사령탑의 경고 메시지여서 주목된다.
로버트 오브라이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29일(현지시간) ABC방송에 출연해 북한의 도발 가능성에 대한 질문을 받자 “우리는 도구함에 많은 도구를 갖고 있다”며 “북한에 추가 압박이 가해질 수 있다”고 답했다. ‘레드라인’으로 여겨지는 ICBM 발사 및 핵실험 등 고강도 도발 가능성에 대해서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그런 접근법을 취한다면 우리는 엄청나게 실망할 것이고 그 실망감을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오브라이언 보좌관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북한 문제를 현실적으로 보고 있다”며 “김 위원장이 싱가포르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했던 약속(한반도 비핵화)에 부응하리라 희망한다”는 얘기도 했다. ‘현실적으로 보고 있다’는 발언은 미국의 대응 조치가 경고에 그치지 않을 것이라는 압박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시험발사는 의미를 축소해 왔지만 ICBM 등은 묵과하지 않을 것이라는 의미다.
북한이 ‘크리스마스 선물’을 예고한 뒤 군사 도발을 하지 않은 데 대해 오브라이언 보좌관은 “우리는 항상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며 긴장을 늦추지 않았다. 그러면서도 북한의 크리스마스 침묵은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 성과라고 밝혔다. 그는 “그들(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개인적으로 좋은 관계다. 그래서 김 위원장은 (도발을) 재고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제시했던 ‘밝은 경제적 미래’ 등을 거론하기도 했다. 오브라이언 보좌관은 “김 위원장 앞에는 두 가지 길이 놓여 있다”며 “남한처럼 매우 번영하고 부를 누리는 나라가 될 수 있는 아름다운 길이 있고, 제재와 고립의 길로 끌어내려 버림 받은 국가가 되도록 하는 길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의 군사력과 경제력을 언급하며 “그들이 기회를 잡을지 아닐지 두고 볼 것”이라고 말했다. 압박과 회유를 동시에 한 셈이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고 테러대응 협력 등 상호 관심사를 논의했다고 러시아 크렘린궁이 전했다. 북한 관련 논의가 있었는지는 밝히지 않았지만 북·미 긴장이 높아지고 있어 관련 논의가 이뤄졌을 것으로 보인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