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 복귀를 앞둔 이낙연 국무총리가 다음 달 후임인 정세균 국무총리 후보자의 국회 인사청문회와 임명동의 절차를 끝으로 당으로 복귀한다. 그동안 이 총리는 여당 의원들과의 적극적인 소통 행보를 통해 당내 인적 기반 확대에 주력해 왔다. 여당 내에서는 이 총리의 향후 역할을 두고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의견과 이 총리에게 모든 것을 맡길 수는 없다는 주장이 공존한다. 이 총리는 “지금은 당에서의 역할보다 총리로서의 정리를 해야 하는 시기”라며 당내 역할론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나타냈다.
한 수도권 중진 의원은 29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한 달 전쯤 이 총리와 만났는데, 특별한 의제가 있었던 건 아니고 소통 차원에서 만났다”며 “이 총리가 의원들을 많이 만나고 있는데 이제 당으로 오니까 워밍업(준비작업) 차원이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이 총리는 여당 의원들과 만난 자리에서 그동안의 소회와 함께 다양한 현안들에 대해 생각을 교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총리의 이런 소통 행보는 ‘당내 인적 기반이 부족하다’는 단점을 극복하고 당에 연착륙하기 위한 행보로 해석된다. 이 총리는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나의) 단점이라기보다 약점은 (과거에) 다수정당(열린우리당)에 합류하지 않고 소수정당(민주당)에 남았더니 지금까지도 소수파인 것, 정치인들과 뭉쳐 다니는 데 익숙하지 않다는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수도권의 한 의원은 “이 총리와 만나보니 굉장히 친화력이 좋은 편”이라며 “공식적인 자리뿐 아니라 술자리에서도 말씀을 재밌게 하신다. 소통에 강점이 있다”고 호평했다.
여권 일각에서는 이 총리가 당으로 복귀하더라도 그에게 모든 것을 맡길 수는 없다는 목소리도 있다. 수도권의 한 의원은 “당대표가 이 총리에게는 안정감 있는 역할을 부여하고, 당의 개혁 노선은 새로운 정치 신인을 통해 밀고 나가게 하는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다른 의원은 “당에서 정확하게 요구하는 권한만큼만 이 총리가 하는 것이 좋다”며 “본인이 주도적으로 모든 걸 하는 건 모양새가 안 좋다. 천천히 가는 게 좋은데 지금은 성급한 측면이 있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 총리는 출마 여부와 관계없이 공동선거대책위원장으로서 내년 총선을 지휘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 중진 의원은 “공동선대위원장 역할이 맞지 않겠느냐”며 “전국적으로 뛰면서 당에 기여하는 것이 가장 좋은 그림”이라고 했다.
여권에서는 이 총리의 역할론에 대해 다양한 말들이 나오고 있으나 이 총리 본인은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그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총리직에서 떠나야 하니까 재임 기간 재해를 입은 분들을 포함해 정리하는 시간을 계속 갖고 있다”며 “어려운 그런 분들을 만나는 게 우선이지 당 복귀를 염두에 두고 당 사람들을 만나는 게 우선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