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24일 중국 쓰촨성 청두에서 제8차 한·중·일 정상회의를 열고 한반도 비핵화 문제를 대화로 해결해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 세 정상은 또 북·미 대화의 조속한 재개를 통해 한반도 비핵화가 진전되도록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
청두 세기성 국제회의센터에서 진행된 한·중·일 정상회의 후 공동언론발표에서 문 대통령은 “리 총리와 아베 총리, 나는 20년간 발전한 상호 협력의 중요성을 다시 확인하고 국민이 협력 성과를 체감하도록 실질 협력 수준을 한 단계 더 도약시키기로 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한·중·일 3국은 앞으로도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를 위해 긴밀히 소통하기로 했다”며 “우리는 한반도의 평화가 3국의 공동 이익에 부합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고, 북·미의 조속한 대화를 통해 비핵화가 실질적으로 진전되도록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리 총리도 “특히 한반도 정세에 대해 심도 있게 대화했다”며 “대화와 협상이야말로 문제를 해결할 유일한 방법이라는 데 동의했다. 3국은 국제사회와 함께 계속해서 정치적 방식으로 이 문제를 해결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자유무역도 강조했다. 리 총리는 “자유무역 수호는 다자주의 수호에 도움이 된다”며 “우리는 모두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을 지지한다. 우리는 중·한·일 자유무역협정(FTA) 협상도 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중국의 거대한 시장’을 언급하며 “한·일 기업들이 기회를 맞을 뿐 아니라 그것이 가져온 일자리로 중국 국민이 더 많은 소비의 선택을 얻게 될 것”이라고 했다.
아베 총리는 “북한의 잇따른 탄도미사일 발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이며 지역의 안전보장에 심각한 위협”이라며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북·미 프로세스를 최대한 지원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를 위해 관련한 유엔 안보리 결의를 완전히 이행하고, 북·미 프로세스 동력을 유지하는 것이 일·중·한 3국의 공통된 입장임을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북한의 일본인) 납치 문제의 조기 해결을 위해 한·중 정상에게 지원과 협력을 요청했고, (두 정상이) 일본의 입장을 이해해줬다”고 덧붙였다.
세 정상은 이번 회의의 결과물로 ‘향후 10년 3국 협력 비전’ 문서도 채택했다. 문서에서 세 정상은 “한반도와 동북아에서의 평화 및 안정 유지가 공동의 이해와 책임이라는 점을 재확인했다”면서 “이러한 점에서 우리는 오직 대화 및 외교를 포함한 국제 협력, 그리고 당사국들의 우려의 포괄적인 해소를 통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를 달성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고 밝혔다. 또 “3국 정상회의와 3국 외교장관회담을 정례적으로 개최하는 것이 3국 협력의 안정적인 발전의 촉진을 위해 중요하다는 점에 의견을 같이했다”고 천명했다.
청두=임성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