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100가구 중 4가구 ‘라돈 초과 의심 물품’… 불안한 잠자리

입력 2019-12-25 04:03

부산지역 100가구 중 4가구에서 라돈 방사선 기준치 초과 의심 물품이 검출됐다. 지난해 5월 침대 매트리스에서 시작한 이른바 ‘라돈 사태’ 파문을 계기로 라돈측정기를 대여해 측정 서비스를 진행한 결과다.

부산시는 지난해 6월 26일부터 올해 9월 말까지 시민 1만5041명에게 라돈 측정기를 무료로 대여해 조사한 결과 519가구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의심 물품 546건이 나왔다고 24일 밝혔다. 측정 가구 수 대비 라돈 방사선 의심 물품 검출률은 3.5%였다.

라돈 방출 의심 물품 546건 가운데 라텍스로 제조한 매트와 베개가 340건(62.3%)으로 가장 많았다. 그 뒤를 이어 침대 매트리스 75건(13.7%), 온수매트 19건(3.5%), 돌침대 15건(2.7%), 흙침대 10건(1.8%) 순이었다. 아기용 라텍스 범퍼와 옥매트 소파 라텍스이불·보디필로 등에서도 라돈측정기 경고음이 울렸다.

라돈 방출이 의심되는 라텍스 매트·베개의 10개 중 8개가 해외에서 구매한 것이었다. 해외에서 산 272개 제품 가운데 중국에서 제조한 제품이 116개로 가장 많았고 태국 92개, 필리핀 10개 등으로 조사됐다.

‘실내공기질 관리법’에 의하면 실내 라돈 권고기준과 신축공동주택 권고기준은 4피코큐리(pCi, 148베크렐Bq/㎥)다. 시가 대여하는 간이 라돈 측정기기(라돈아이)는 측정값이 4피코큐리 이상이면 경고한다.

시는 기준치를 초과한 의심 물품을 보유한 시민에게는 폐기물 처분하도록 유도하거나 구매처를 통해 환불·교환 조치 방법 등을 안내하고 있다. 또 해외구매 라텍스 전문기관을 방문해 측정하도록 하거나 국내 물품의 정밀측정 신청, 저감조치 방법, 올바른 측정법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라돈 측정 등 관련 정보는 부산시 생활방사선 안전상담센터와 동주민센터에서 안내받을 수 있다. 아울러 이번 조사 결과의 세부 내용을 부산시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할 예정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앞으로도 다양한 생활 주변 방사선 안전관리를 통해 시민들이 공감하고, 안심할 수 있는 안전문화 정착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부산시는 지난 5월 전국 광역지자체 중 처음으로 ‘생활 주변 방사선 안전관리 조례’를 제정했다. 생활 주변 방사선 방호 기본계획을 세우고 16개 구·군에 총 385대의 라돈 측정기를 보급해 동주민세터 등에서 무료 대여 서비스를 해왔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