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올해 6월 반도체, 휴대전화 등 사업 분야의 경영진과 잇따라 만나며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핵심은 기술 경쟁력 확보”라며 기업의 장기적이고 근원적인 경쟁력은 기술이라고 강조했다. 이 부회장은 반도체 경영진들에게는 “삼성은 4차 산업혁명의 ‘엔진’인 시스템반도체 분야에서 2030년 세계 1등이 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며 “이를 위해 마련한 133조원 투자 계획의 집행에도 만전을 기해 달라”고 말했다. 휴대전화 경영진들과의 회의에서는 첨단 선행 기술과 신규 서비스 개발을 통한 차별화 방안을 논의하며 “지금은 어느 기업도 10년 뒤를 장담할 수 없다. 그 동안의 성과를 수성(守城)하는 차원을 넘어 새롭게 창업한다는 각오로 도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연구 개발에 18조6600억원을 투자했다. 이는 회사 최고 기록으로 10년전인 2009년 연구개발 투자 7조5600억원에 비하면 배 이상 늘어난 금액이다. 또 삼성전자는 전 세계에 37개의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연구원만 6만7000명에 달한다. 이 중 4만8000여명은 국내 연구소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이는 삼성전자 국내 직원 10만명 중에서 절반을 차지하는 규모이다. 특허 분야에서도 삼성전자는 현재 세계적으로 총 13만5433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미국에서는 5850건의 특허를 등록해 2위를 차지한 바 있으며, 유럽에서도 2449건의 특허를 등록해 3위를 기록했다. 대부분 스마트폰, 차세대 TV, 메모리, 시스템LSI 등에 관한 특허로 전략 사업과 미래 신기술 관련된 것이다.
삼성전자는 2017년 11월 삼성 리서치를 출범시켜 산하에 AI센터를 신설해 인공지능 관련 선행연구 기능을 강화했다. 2018년 1월에 추가로 미국 실리콘밸리에 AI 연구센터를 설립하며 영국, 캐나다, 러시아에 연이어 연구센터를 개소해 현재 5개국에 7개의 AI 연구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우수 인재 영입에도 힘을 쏟고 있어서 AI 선행 연구개발 인력을 2020년까지 1000명 이상(국내 약 600명, 해외 약 400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그간 축적해온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기술에 AI를 적용해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우리 삶의 질을 높이며 새로운 경험과 가치를 제공하기 위한 로봇 연구도 지속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올해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19에서 차세대 인공지능(AI) 프로젝트로 개발된 ‘삼성봇’과 ‘웨어러블 보행 보조 로봇(GEMS)’을 처음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2013년부터 국가의 과학 기술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을 펼치고 있다. 이 사업을 통해 10년간 1조5000억원을 출연해 기초과학, 소재기술, ICT 등 3개 연구 분야에서 미래를 책임지는 과학 기술을 지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