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안보 ‘슈퍼위크’, 시계제로의 한반도

입력 2019-12-22 18:33 수정 2019-12-22 23:46

북한 비핵화 문제와 한·일 및 한·중 관계 등 한반도 정세의 앞날을 좌우할 중대한 한 주가 시작됐다. 한반도 외교·안보의 ‘슈퍼 위크’라고 할 수 있다. 북한의 ‘크리스마스 선물’ 개봉을 앞두고 23일 한·중, 24일 한·일 정상회담이 열린다. 북한이 ‘연말 시한’을 앞두고 정말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재개와 같은 암울한 선물을 내놓을지 주목되는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북한 문제 해법 마련에 머리를 맞대는 것이다.

22일 조선중앙통신과 노동신문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확대회의를 주재하고 ‘자위적 국방력’을 강화하기 위한 문제를 논의했다고 보도했다. ICBM 발사와 관련된 결정이 이뤄졌을 가능성이 있다.

문 대통령은 22일 공식 일정을 비운 채 23~24일 중국 쓰촨성 청두에서 열리는 한 중 일 정상회의 준비에 전념했다. 문 대통령은 23일 베이징에 먼저 들러 시 주석과 정상회담을 한다. 시 주석에게 한반도 비핵화 문제에 관한 건설적인 역할을 요청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 주석은 지난 21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북·미 비핵화 협상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 문제도 논의했다. 미·중이 협력하고 있는 사안”이라고 밝혔고, 시 주석도 “모든 당사자는 서로 타협해야 하며 대화 모멘텀을 유지해야 한다”고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대화 모멘텀’이라는 표현은 굉장히 의미 있는 말”이라며 “북한에서 강경한 이야기가 나오고 있지만 한·미·중 모두 대화로 풀자는 데에는 일치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도 22일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했다.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과 아베 총리는 최근 북한의 위협적 성명을 고려해 긴밀한 소통과 조율을 계속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23일 베이징에서 청두로 이동해 리커창 중국 총리와 회담한다. 중국 최고지도부와의 연쇄 회담에서 북한 문제뿐 아니라 2016년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갈등으로 취해진 중국의 한한령(限韓令·한국 대중문화 금지 조치)을 해제하는 문제도 논의될지 주목된다.

24일에는 문 대통령이 아베 총리와 1년3개월 만에 정상회담을 한다. 한·일 관계가 정상화의 길로 가느냐, 아니면 장기전으로 가느냐가 결정될 자리다. 일본의 수출 규제와 한 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지소미아) 문제가 집중 논의될 전망이다. 지난달 한국 정부는 지소미아 종료를 유예했고, 일본 정부는 지난 20일 수출 규제 중 일부를 완화했다. 악화일로로 치닫던 양국 관계가 반전의 계기를 찾은 모습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정상들끼리 만나면 모멘텀이 생겨서 진전이 좀 있기 마련”이라고 말했다. 양국 간 대화 기류를 이어가는 정도의 합의가 나올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