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광주교도소 부지에서 40여구의 시신이 발견됐다. 이에 따라 발견된 시신과 5·18 광주민주화운동과의 연관성이 주목받고 있다.
법무부는 19일 광주광역시 북구 옛 광주교도소 부지 내 무연분묘(교도소 내에서 사망하였으나 연고가 없는 사람의 분묘) 개장 작업을 하던 중 신원미상의 유골 약 40여구를 발견했다고 20일 밝혔다. 김오수 장관대행과 문찬석 광주지검장 등 관계자는 현장을 찾아 확인 작업에 들어갔다.
유골이 발견된 곳은 법무부가 솔로몬로파크 조성사업을 추진하는 대상 부지로 무연분묘가 일부 포함된 장소다. 현장에서 발견된 유골은 함평 국군통합병원에 안치된 것으로 전해졌다.
김 대행은 당초 이곳에는 개인 묘 50기와 합장묘 2기 등 모두 111구의 유골을 법무부가 관리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그런데 이번 개장 과정에서 법무부가 관리하지 않는 40여구의 유골이 추가로 발견된 것이다. 관리 유골 이외에 40여구가 추가로 발견됐다는 점에서 5·18 당시 암매장 희생자일 가능성이 주목된다. 김 대행은 “우리가 관리하지 않은 유골이 발견됐기 때문에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확인·점검할 필요가 있다”며 “어떤 연유로 관리되지 않은 유골이 교정부지 내에 묻히게 됐는지 연유를 확인하는 것이 핵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로서는 5·18과 관련이 있는지 속단하기 어렵지만 가능성은 확인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법무부는 DNA 분석 등을 통해 정확한 신원 확인 작업을 할 계획이다.
다만 광주광역시는 5·18 관련성을 부인했다. 시 관계자는 “시신이 발견된 장소는 1970~71년 당시 사형이 집행된 사형수와 장기 수감 사망자, 무연고자 시신의 합장묘 형태의 묘소”라며 “5·18 희생자와는 무관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앞서 5·18기념재단과 5월 3단체(유족회·부상자회·구속부상자회)는 2017년 11월 법무부의 승인으로 3공수여단 등 1980년 당시 계엄군 주둔지였던 옛 광주교도소 암매장 발굴에 착수했다. 5·18단체는 1980년 5월 당시 계엄군으로 투입된 3공수 지휘관이 작성한 약도와 시민 제보 등을 토대로 옛 광주교도소 재소자 농장 터를 암매장지로 지목했다. 군 기록에 따르면 민간인 27∼28명이 옛 교도소 일원에서 계엄군에게 죽임을 당했다. 하지만 항쟁이 끝나고 임시매장된 형태로 발굴된 시신이 11구에 불과해 다른 희생자들은 교도소 주변에 암매장됐을 것이란 추측이 그동안 제기됐다.
구자창 기자, 광주=김용권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