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보수 1번지’ 대구에서도 ‘진보표’ 청년정책이 도입됐다. 신혼집 마련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층 신혼부부들을 위해 전세자금을 1%대의 대출이자로 지원한다는 정책이다. 청년층 유출, 혼인율 하락 등 인구감소 위기를 타개하겠다는 구상이다.
대구시는 다음 달부터 신혼집 마련이 어려워 결혼을 포기하거나 열악한 주거환경에 놓인 무주택 신혼부부들을 위해 전세자금 대출이자를 지원하는 ‘우리둥지대구’ 사업을 실시한다고 15일 밝혔다.
대구시는 청년이 대구지역에 유입돼 둥지를 틀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하기 위해 ‘대구시 신혼부부 주거지원정책 수요조사’를 실시했다. 대구 신혼부부 300가구를 대상으로 ‘결혼 시 가장 부담이 되는 사항’을 조사한 결과 주택 문제가 53.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특히 월세와 전세로 살고 있는 신혼부부 67.7%, 56.3%가 주택을 가장 부담이 되는 사항으로 꼽았다.
이에 시는 ‘주택도시기금 신혼부부 전용 전세자금’을 신규 대출 받은(다음달 1일 기준) 지역거주 무주택 신혼부부(7년차 이내)를 대상으로 대출금의 0.5~0.7%(무자녀 0.5%, 1자녀 0.6%, 2자녀 이상 0.7%)를 최장 6년간(기본 2년, 연장 4년) 직접 지원한다. 신혼부부가 실질적으로 부담하게 되는 금리가 0~1.6%로 낮아지는 것이다. 자녀가 한명인 신혼부부가 7300만원을 대출받는 경우 대출금의 0.6%에 해당하는 연 이자액 43만8000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주택도시기금 신혼부부 전용 전세자금대출은 부부합산소득 6000만원 이하의 무주택 신혼부부(7년차 이내)를 대상으로 보증수수료, 중도상환수수료 없이 최대 1억6000만원까지 저금리로 전세자금을 대출해주는 상품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대구 신혼부부(5년차 이하)의 75% 정도가 합산소득 6000만원 이하”라며 “대출이자가 지원되면 월세에서 전세로 전환하거나 전세자금 추가대출 등이 가능해 신혼부부의 주거환경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청년복지를 늘리는 청년정책은 진보성향 단체장이 있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적극적으로 추진해온 것이다. 최근 서울 양재역 인근 379세대 규모 ‘역세권 청년주택’ 추가 건설, 현재 연 7000명인 청년수당 수급자 향후 3년간 총 10만명으로 증원 등을 발표한 서울시가 대표적이다. 하지만 지역의 청년문제가 심각해지면서 대구, 경북 등 보수 성향으로 분류되는 지역도 청년 문제 해결책으로 청년정책을 적극 벤치마킹하고 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