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시위대와 주민 간 충돌 과정에서 벽돌에 맞은 70대 노인이 사망한 사건과 관련해 경찰이 범인 검거를 위해 사상 최고액의 현상금을 내걸었다. 또 시위에 참여하려다 체포된 교사가 정부 압력으로 정직 처분을 받는 등 홍콩 시위의 여진이 이어지고 있다.
12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지난달 13일 성수이 지역에서 시위대와 주민 간 충돌 과정에서 머리를 다쳐 숨진 뤄모(70)씨 사건에 대해 홍콩 경찰이 80만 홍콩달러(약 1억2000만원)의 현상금을 내걸었다.
당시 지역 주민들이 시위대가 설치해 놓은 벽돌을 치우는 과정에서 시위대 20여명이 이에 항의하면서 다툼이 벌어졌고 서로 벽돌을 던지는 과정에서 뤄씨가 시위대 쪽에서 날아온 것으로 추정되는 벽돌에 맞아 쓰러졌다. 그는 현장에서 사진을 찍고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뤄씨는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다음 날 숨졌다. 온라인에 떠도는 동영상에는 그가 벽돌에 머리를 맞고 땅에 쓰러지는 장면이 담겨 있지만 누가 던졌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80만 홍콩달러는 홍콩 경찰이 내건 현상금 중 최고 액수다. 기존 현상금 최고 액수는 폭력조직 삼합회 조직원 3명에게 내건 60만 홍콩달러(약 9000만원)였다.
대중교통 방해 시위를 하려다 체포된 교사가 정직 처분을 받은 것도 논란이 되고 있다. 툰먼 지역 중등학교 교사인 체밍키(31)는 11일 학교 재단 측으로부터 정직 처분을 받았다. 그는 지난 9일 성수이 지역 주차장에서 가위와 펜치, 스패너 등을 갖고 있다가 경찰에 체포됐다.
그가 체포된 다음 날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은 시위 교사에 대해 엄중 대응하라고 교육 당국에 촉구했고 켈빈 융 교육부 장관도 일선 학교에 즉각적인 조치를 요구한 바 있다. 정부의 잇따른 압박에 학교 측은 결국 체밍키 교사에게 정직 처분을 내렸다.
한편 중국 정부는 또다시 홍콩에 국가보안법 제정을 압박하고 나섰다. 장샤오밍 홍콩·마카오 판공실 주임은 전날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기고에서 “홍콩은 마카오와 달리 국가보안법을 통과시키거나 관련 집행 기구를 설립하지 않았다”면서 “급진 세력이 활개치는 주요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지난달에도 홍콩 정부에 국가보안법 제정을 주장했던 그는 “국가안보를 수호하는 법률 제도와 집행 기제를 세우는 것은 긴박한 임무”라고 말했다. 홍콩 정부는 2003년 기본법 23조에 근거해 국가보안법 제정을 추진했지만 50만명이 거리로 나와 반대 시위를 벌이자 법안을 취소한 바 있다.
베이징=노석철 특파원 schroh@kmib.co.kr